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고했어. 오퍼튜니티"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1㎝의 속도로 움직이며 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애초에 오퍼튜니티는 약 92일 동안 약 1km
거리
를 운행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그 기간을 훨씬 뛰어넘어 15년간 약 45km를 이동하며 훌륭히 화성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그동안 지구에 20만 건이 넘는 사진을 전송하며 2004년 4월 화성에 물이 흘렀다는 사실을 ... ...
GPS 없이도 혼자 돌아다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찾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비올레 교수는 “로봇이 야간에 움직이거나 장
거리
를 이동할 때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면서도 “수만 유로가 드는 로봇의 이동 시스템을 수백 유로 수준의 단순한 센서로 구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 ...
상실감 두려워 운전대 잡는 고령 운전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통한 장애물 회피 능력이 일반 운전자와 비교해 모두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동
거리
도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고령 운전자는 교통사고 발생시 부상의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고령 운전자 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이유다. 윤윤진 KAIST 환경공학과 교수 ... ...
美·中 이어 유럽도 우주軍 창설 고려…우주 평화의 시대는 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위한 기반을 닦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군집위성을 통해 2020년까지 전지구의 날씨를 원
거리
에서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유럽 내에선 우주군 창설 계획을 두고 구체적인 시점과 일정 합의가 이뤄지지는 않았다. 다만 전체적인 방향성은 창설 쪽으로 기울어 있는 것으로 ... ...
움직이는 쥐의 뇌 반응 실시간으로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정전용량 CMUT를 작고 가볍게 만들었다. 쥐의 신체 구조에 맞는 중심 주파수와 크기, 초점
거리
, 초음파 세기를 갖는 1g 미만의 소자와 행동실험에 적합한 실험 장치를 제작한 것이다. 이 소자는 쥐 뇌의 3~4㎜ 깊이까지 초음파가 전달되고 쥐 뇌 전체 크기의 25%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
2019.02.11
피해야 할 대표적인 교착 상태를 잘 나타낸다. 정교한 설계가 필요한데, 아이 수준과
거리
감이 느껴진다. 사실 순차적 프로그래밍 사고력을 갖추고 난 후 접해야 할 부분이지만, 엔트리가 기왕에 그렇게 설계된 마당에 어찌할 도리가 없다. 아이의 이해도를 살펴보며 전진과 후진을 조절할 필요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목표다. 이른바 '감자 2.0'이다. 브라질은 안데스 산맥의 주요 감자 재배지와는 사실
거리
가 멀다. 하지만 야생종은 브라질 남부 히우그란지두술주까지 뻗어 있다. 하이든 연구원은 “겨울은 혹독하게 춥고 여름은 덥고 건조한 이 지역에서 자란 야생 감자는 이 같은 잦은 날씨 변화에 잘 적응할 수 ... ...
“北최고인재 로켓 만드는데 南에선 쌍커풀 만든다” 北 과학자가 본 남북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정책)에 따라 지난해 4월 북한 평양에 완공된 과학자 주거복합단지 ‘려명
거리
’. 70층 높이의 주상복합 아파트(가운데) 등 고층빌딩이 즐비하다. 이곳 건물들은 태양전지를 활용하는 등 친환경 건축물로 지어졌다. - 조선의오늘 북한에서 과학자가 되려면 우선 좋은 대학에서 과학을 공부해야 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극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정말 상승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9
붕괴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근거가 불충분해 이 주장에 대한 진위여부가 논란
거리
였다. 에드워즈 교수 연구팀은 남극 얼음장벽과 과거 해수면 상승과 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7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얼음장벽과 해수면 상승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모델을 ... ...
몸 온도 따라 스스로 열 방출 조절하는 기능성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적외선만 방출한다. 열이나 습도가 올라가며 상대습도가 올라가면 실에 코팅된 CNT간
거리
가 가까워져 10㎛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바뀐다. 상대습도가 올라가면 인간이 열이 날 때 주로 방출하는 파장대인 10㎛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섬유가 특성을 바꾸는 것이다. 연구팀이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