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도,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403
다만 정각 도법으로 만들어진 지도는 이 선이 직선으로 표시되도록 했기 때문에 최단
거리
처럼 보일 뿐이다. 결국 대권과 항정선을 동시에 직선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도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지도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어떤 도법으로 제작된 세계지도가 가장 좋은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03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달 3일과 30일에는 각각 월령 20.5와 17.8의 달이 2도 30분 정도의
거리
를 두고 지나가게 된다.■ 오리온자리 카이(Chi)성의 상식상현달보다 조금 큰 월령 8.1일의 달이 오리온자리 Chi을 가리는 성식이 이달 20일 초저녁에 일어난다. 이 별은 19시 04분경 달의 어두운 부분으로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03
미국MD(맥도널더글라스)사에 의해 설계제작된 전문 상업용위성 발사체. 델타로켓은 중
거리
미사일 소아를 1단으로, 뱅가드를 2단과 3단으로 결합한 전형적인 3단로켓이다. 1단과 2단은 액체추진제 로켓, 3단은 고체추진제 로켓이다. 아리안에 도전하는 델타와 아틀라스NASA에 의해 운영된 초기 델타1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도플러효과를 이용하면 멀리 있는 외부 은하가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든 천체가 하나의 점으로 뭉쳐 있었 ... 말하면 저음의 남자의 음성도 어린아이의 재잘거림으로 들리고 서로 멀어지면 재잘
거리
는 소리도 착 가라앉은 저음으로 들리게 될 것이다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02
것으로 짐작된다.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연을 만들어 이를 다방면에 이용한 기록이 많다.
거리
를 측정하는 데도 이용했고 군사적으로도 이용했으며 통신용으로도 썼다. 당(唐)대에는 민간에서도 연날리기가 널리 성행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중국 연의 형태로는 용연 새연 나비연 등 동물연이 꼽힌다. ... ...
마름모꼴 바퀴달린 화성탐사차 제작
과학동아
l
199402
지구로부터 원격조작보다는 자율적으로 상황을 판단해서 달리지 않으면 안된다. 너무
거리
가 멀어 화성과 지구 사이에 전파교신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크레이터 구덩이에 빠져 허우적거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성탐사차는 장애물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심한 요철을 헤쳐나갈 수 있는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02
없는 우주에서는 모든 물체가 완벽하게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므로 흔들리거나 덜컹
거리
거나 불안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혹자는 물체를 떨어뜨려 보아서 똑바로 떨어지면 정지해 있는 것이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떨어지면 움직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은 가속운동하는 ... ...
TGV, 탈선사고로 오히려 안전도 입증
과학동아
l
199402
정상제동
거리
는 약 2km. 일부 뒤쪽 차량이 선로를 벗어난 채로 열차는 심하게 덜컹
거리
면서 달렸다. 자갈들이 차창을 때렸다. 하얗게 질렸던 승객들은 정차 후 기관사에게 뜨거운 찬사를 보냈다.전문가들은 만약 급제동을 했더라면 차량들이 아코디온처럼 짜부라져 사상자가 날 뿐만 아니라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
과학동아
l
199402
인간과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을 가진 원격 로봇(telerobot)이다. 이러한 로봇을 먼
거리
에서 조종함으로써 마치 자신이 직접 작업을 하는 듯한 착각이나 자신이 그곳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원격임장, 혹은 원격 존재(telepresence)라 부른다. 이 말은 인공지능의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02
4가 된다. 카메라에서 f수를 변화시켜도 사진 찍히는 대상의 크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초점
거리
가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위의 공식에서 f수가 2나 4정도로 커지기 위해서는 렌즈의 지름을 줄여야 한다.렌즈를 작은 것으로 바꿔 끼우지 못하므로 조리개를 이용하여 빛을 차단함으로써 렌즈의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