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수학동아 l201102
- 잘되고 못됨을 살펴 점수를 매기다를 뜻하는 ‘꼲다’ 옛말이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우리 고누는 다른 놀이와 달리 가짓수가 많다. 가장 간단한 우물고누에서 줄고누, 자동차고누, 호박고누, 꽃고누 등 다양하다.줄고누 ① 한 번씩 서로 번갈아 앞·뒤·좌·우로 한 칸씩 갈 수 있다.② 자신의 말 ...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수학동아 l201102
-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땄다”였다. 당연히 정답은 “한국”이다. 우리는 다 아는 쉬운 문제지만 처음 버저를 누른 미국 출연자는 “일본”이라고 답했다. 왠지 씁쓸하다. 왓슨은 알고 있으려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컴퓨터의 무한도전 퀴즈대결서 사람 이길까Part 1. 왜 제퍼디 ...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수학동아 l201102
- 해적 일당. 허풍과 도형은 조심스럽게 상자를 열어본다.“보물이 확실한 거지? 그럼 이제 우리가 확인해 봐도 될까?”4 도형의 속임수바르바리 해적선 선장이 다가오려는 순간 도형이 외친다.“잠깐!”도형의 외침에 모두 놀라 그 자리에 멈춰 선다.“어허, 꼬마 선생 약속이 틀리잖아. 약속을 어기면 ...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수학동아 l201102
- ‘원금×(1+이율)이자를 받는 횟수’로 구할 수 있다.*1프랑스위스의 화폐 단위로 가치는 우리나라 돈으로 약 1100원이다.오일러의, 오일러에 의한, 오일러를 위한 여러 사람들이 이미 그 존재를 알고 있었던 상수 e를 왜 오일러 수라고 했을까?그 이유는 오일러가 이 특별한 수를 나타내기 위해 ...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02
- x의 정수부분이라 하고, 이것을 대괄호([])를 이용해 [x]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2.1]=2다. 우리는 흔히 [x]를 x 로 나타내고 이것을 x의 최저한도(floor)라 한다.또, 실수 x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를 x 로 나타내고 이것을 x의 최고한도(ceiling)라 한다. 최저한도와 최고한도는 다음의 ...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02
- 주사위는 최대 6칸을 이동할 수 있어 윷을 이용할 때와 매우 다른 모습이 펼쳐질 수 있다.우리가 이용하는 윷판은 최대 5칸을 이동할 수 있는 모에 알맞게 맞춰져 있다. 따라서 이용하는 도구가 달라진다면 말판도 바뀌어야 서로 어울린다. 즉 주사위를 이용한다면 말판의 경로가 6번째 칸에서 ...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02
- 끝값, 중간값을 정한 뒤 함수식에 넣으면 0과 1 사이의 숫자로 자동으로 정해진다. 여기서 우리는 12세를 시작값(0)이라 정하고 24세를 끝값(1)이라고 정하자. 그러면 ‘어른 그래프’가 생긴다. 그래프에 따르면 24세 이상은 무조건 어른이라 정하고 18세는 어른이라고 하기에는 어떤면에서 아직 ... ...
- '점'과 '꼭짓점'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1102
- 아주 배율이 좋은 현미경이라면, 점을 몇 백만 개로 늘려도 빈곳은 보일 거예요.우리는 이렇게 무한히 많은 점들 중에 선분의 끝에 있는 점에만 이름을 붙입니다. 만약 삼각형 ㄱㄴㄷ이 있다면, 점 ㄱ, ㄴ, ㄷ은 세 선분의 끝점입니다. 이것들을 특별히 꼭짓점이라고 부릅니다. 즉, 무수히 많은 점에는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02
- 기술을 개발해야 ‘스텔스기 개발국가’라는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수준은 어떨까. 아직 완전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스텔스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ADD가 주요 진행사업으로 항공기 및 함정용 전파흡수재료를 개발하고 있다고 처음 언급한 것이 2004년. 당시 ...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과학동아 l201102
- 설이 마지막이 아닐까. 최근 ‘굳지 않는 떡’이 탄생했다. 떡이 굳지 않는다면 앞으로 우리의 간식도 달라질 것이다.위에 소개한 가상 요리들이 올해 실제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덕분이다. 이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