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7,7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04
클릭하면 실제 성도(별자리 지도)를 배경으로 ISS가 지나가는 궤적을 볼 수 있다. 성도
위
쪽이 북쪽 하늘, 왼쪽이 동쪽 하늘이다.ISS가 나타나는 시간에 이 성도를 갖고 나가 사진을 찍어 보자. ISS는 매우 밝지만 도심에서 사진을 찍으면 가로등 불빛 때문에 30초 정도 노출을 해도 하늘이 노랗게 나온다. ... ...
식물로 지구를 시원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털이 더 많은 콩을 개발해서 미국과 브라질 등에서 키우고 있어요.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위
도 30~60도 지역에 이 콩을 심으면 그 지역의 평균 기온이 1℃ 정도 내려갈 수 있을 거래요. 사람에게 유용한 먹을거리인 콩이 이렇게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까지 한다니, 정말 고마운 존재네요 ... ...
“아찔~!”지구로 다가온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 때문에 국제천문연맹이 궤도를 추적하고 있어요. 현재 지구
위
협소행성은 920여 개가 발견되었답니다.그렇다면 이번에 지구에 얼마나 접근했던 건가요?지난 1월 29일 오후 5시 33분, 초속 9㎞의 속도로 지구로부터 53만 8000㎞까지 접근했어요. 지구와 달 사이의 1.4배 정도니 꽤 ... ...
지상을 박차고 우주로 비상하라
과학동아
l
200804
로켓을 만들 때 직접 활용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로켓을 쏘아보내기 직전 점화스
위
치를 누를 때의 흥분과 긴장감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짜릿하다고 동아리 회원들은 입을 모았다. 가끔 낙하산에 매달려 떨어지는 로켓이 미사일로 오인 받아 곤욕을 겪기도 하지만 자신의 손으로 만든 ... ...
고산 미스터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04
3월 8일 한 외신에서 공개한 우리 우주인 사진 한 장이 있었다. 소유즈 우주선 귀환모듈 안에서 이소연 씨와 러시아 우주인 두 명이 손을 한데 모으고 있는 사진이었다.지난 9월 ...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미스터리의 진실part 2 지구
위
에 뜬 거대 실험실 ... ...
part 2 지구
위
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04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가 생활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올해로 우주에 건설되기 시작한 지 10주년을 맞았다. 최근 ISS 건설은 어느 때보다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미스터리의 진실part 2 지구
위
에 뜬 거대 실험실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어김없이 비를 내렸다. 즉 우기가 시작된 것이다.1904년 고고학자들은 유카탄반도에
위
치한 마야문명의 대유적지인 치첸이차(Chichen Itza)의 거대한 우물, 즉 ‘신성한 세노테’의 바닥에 쌓여있던 퇴적물을 끄집어 올렸다. 두꺼운 진흙층 아래에서 100여구가 넘는 유골과 각종 제사도구가 출토됐다. ... ...
지구 속을 파고드는 비법
과학동아
l
200804
지진과 화산활동이 일어난다. 지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판들은 마치 컨베이어 벨트
위
의 물건처럼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지금까지 어떻게 지표의 판이 두께가 2900km에 이르는 맨틀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는 논란거리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지각판의 단단함, 탄성 등을 변화시키면서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4
壓碎)됨과 동시에 재결정되어 형성된다대표적인 것으로 미로나이트가 있다특히 넓은 범
위
의 압력에 의한 동력변성작용으로 형성된 암석을 광역변성암(廣域變性岩)이라 하는데, 결정편암 · 천매암 · 편마암 등이 이에 속한다천매암은 재결정작용이 불충분하여 원석(原石)조직이 암석 내에 남아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높은 환경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열이 빠져나가는 통풍구를 막기 쉬운 이불이나 배게
위
에 올려놓고 쓰는 것도 좋지 않다.급속 충전이나 불량 충전기의 사용도 피해야 한다. 보통 전자기기는 방전이나 충전시 리튬이온이 책갈피에 끼워지듯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층으로 들어간다. 리튬이온이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