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원
이상향
유토피아
무릉도원
이상국
도원경
이상
d라이브러리
"
이상세계
"(으)로 총 5,539건 검색되었습니다.
맛과 냄새의 조화
과학동아
l
199806
태어난 지 얼마 안 되는 갓난 아기들에게 여러 가지 맛의 물질을 주고 그 때의 표정을 사진으로 찍은 예가 있다. 맛에 대한 느낌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아기들의 표정으로 선호도를 짐작하는 실험이다.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아기들은 설탕물이나 글루탐산나트륨액(조미료에 쓰이는 아미노산인데 ... ...
호박속 공룡 DNA는 진짜일까
과학동아
l
199806
1993년 6월 개봉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쥬라기 공원'은 호박(amber)을 일약 스타로 만들었다. 이 영화의 원작은 1990년 마이클 크라이튼이 쓴 '쥐라기 공원'이다. 그 서막은 이렇다.공룡은 1억6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했던 동물로 6천5백만년 전 어떤 이유에서인지 갑자기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 ... ...
5. 솔리톤
과학동아
l
199806
1976년 안다만 해안에서는 석유탐사를 위해 파이프를 바다 속으로 내리는 도중 갑자기 심한 요동이 생겨 작업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1987년 6월 미국에서는 거대한 공기파가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 채 대륙을 횡단한 사건이 관측됐다.1991년 벨 연구소는 하나의 회선으로 50만통의 전화를 동시 ... ...
평화를 향한 과학자의 몸짓
과학동아
l
199806
1963년 미국의 라이프지는 ‘노르웨이에서 온 해괴한 모욕’이라는 이해하기 힘든 제목으로 195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였던 라이너스 폴링이 1962년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한 과학자가 노벨상을 두번 받은 경우는 당시까지 마리 퀴리가 유일했을 만큼 대단한 사건이었는 ... ...
1. 영양 보급로 차단하는 항암 물질
과학동아
l
199806
암은 정복될 것인가. 최근 미국 하버드 의대 포크만 교수팀이 항암효과를 입증한 두가지 물질 앤지오스태틴(angiostatin)과 엔도스태틴(endostatin)이 세계적인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와 같은 분위기라면 당장이라도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올 것만 같다.포크만 교수는 대부분 ... ...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핵실험 대체
과학동아
l
199806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인도의 지하 핵실험이 끝난 후 한 관리는 이번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핵무기를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것이 새로운 사실은 아니다. 미국이나 프랑스 같이 핵을 보유한 많은 국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실제 핵폭 ... ...
2. 창의성 축구+한국형 실리축구
과학동아
l
199806
지난 5월말 FIFA(세계축구연맹)에 의해 발표된 국가별 축구 순위에 따르면, 한국 축구는 세계 20위이다. 브라질은 부동의 1위였고, 일본은 12위, 멕시코, 네덜란드, 벨기에가 각각 4위, 25위, 36위를 차지했다.그러나 FIFA의 국가별 축구 순위의 정확성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다. ... ...
DNA는 생물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806
'쥐라기 공원'이 실현될 수 있을까? 대답은 간단하다. "아니오"다. 설령 유전공학이 더욱 발달해 공룡과 같은 고생물을 재현시킨다 할지라도 살아남을지 의문이다. 고생물은 현재의 지구환경에 적응할 준비가 전혀 안돼 있기 때문이다.장구한 세월 지구환경은 서서히 변해 왔다. 이러한 환경 변화 ... ...
지구에 충돌한 운석 흔적
과학동아
l
199806
지구는 기후 변화가 심해서 달과 달리 운석이 충돌한 흔적이 곧 사라진다. 그래도 충돌의 흔적으로 추측되는 곳이 전세계적으로 1백40여군데 가량 관측되고 있다.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밸린저 운석공이 가장 유명한 편이다. 지름 1.2km 정도.그러나 학자들 중에는 북미의 5대호 중에서 미시건호와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혜성 충돌
과학동아
l
199806
"어스레한 여명이 밝아오는 새벽에 온 나라의 사람들이 그것을 볼 수 있었다. 갑자기 서쪽 하늘에 나타난 거대하고 창백한 하얀 별을!"지금부터 1백년 전인 1897년에 발표된 웰스의 단편소설 '별'에 나오는 구절이다. 외계에서 날아온 천체가 지구와 부딪힌다는 설정을 다룬 모든 SF들의 원형이 되는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