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말한다 소스코드가 공개돼 기술력만 있으면 원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무한한
가능성
의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임베디드 리눅스의 응용분야는 CPU와 보드(Board)가 장착된 모든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각종 개인정보단말기(PDA)와 정보가전기기, 그리고 인터넷과 관련된 통신 및 네트워크 장비를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피해가 훨씬 줄었을지 모른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뉴올리언스를 둘러싼 둑이 무너질
가능성
은 이미 제기됐고, 둑을 보수하기 위해 주정부에 예산도 신청된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 예산은 테러와의 전쟁에 밀려 절반으로 삭감됐다. 지구온난화가 부추긴 카트리나는 결국 미국에 ‘인재’(人災)라는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있어 ‘꿈의 에너지’라고 불린다. 우라늄을 사용하는 핵분열 발전에 비해 방사능 오염
가능성
도 훨씬 적다. 중수소와 리튬은 지구에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연료 걱정도 없다.그러나 핵융합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선 핵융합에 필요한 조건인 1억℃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만들고 제어하는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전자에 비해 연구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앞으로의
가능성
이 무궁무진한 생명과학의 보물섬이기도 하지요. 신나게 뛰놀던 장난꾸러기어린 시절, 단장님은 4월 1일 만우절을 가장 좋아했답니다. 이번에는 또 어떤 아이디어로 사람들을 놀라게 해 줄까? 어떤 기발한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구비한 생물 세대간 양친 유전자의 배분에 의해 개체간 변이나 생물군 다양성이 나타날
가능성
이 상대적으로 높다호주 남부 아델레이드(Adelaide) 북쪽 에디아카라(Ediacara) 언덕에서 발견되는 동물화석군 현생 동물군과 유사성이 적은 기이한 동물들로 구성됐다 원생대 말 지층에 해당한다오파린이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무어의 법칙을 따라 혹은 그보다 빨리 성장하고, 기술이 발달할 때마다 새로운 도청
가능성
이 생기기 때문이다.영국의 소설가 조지 오웰은 1949년 소설 ‘1984년’에서 미래 인류사회에는 ‘빅 브라더’라는 독재자가 나타나 개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하지만 한 번 ... ...
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감동시켰을까. 앞으로 어떤 동물들이 복제돼 세상을 놀라게 할까. 혹시 인간이 복제될
가능성
은 없을까. 스너피를 비롯한 동물 복제의 모든 궁금증과 전망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2. 무한 복제의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독재자 등이 장기 교체 등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인간을 복제할
가능성
은 열려 있다. 종교단체 라엘리안 등 인간복제를 추진하는 단체나 개인도 일부 있다. 최근 복제인간을 다뤄 화제를 낳은 영화 ‘아일랜드’가 불가능한 현실만은 아니다.애완동물 복제 반발 많아2005년 2월 미국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지금까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주에서 장기간 태양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인 암에 걸릴
가능성
이 3% 증가한다. NASA가 달 기지 건설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NASA는 달 탐사를 통해 장차 화성에 인간이 발을 내딛는데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계획으로는 202 ... ...
자석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있는데 과연 분자들이 자석에 끌려올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죠. 하지만 일단 시작했더니
가능성
이 보였습니다.”연구실에는 10명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김 교수와 함께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 3년밖에 되지 않은 젊은 연구실이지만 연구 의욕만큼은 어디에도 뒤지지 않는다.이들은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