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캔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캔을 직접 손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제작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그러다 1840년대 자동화 기계가 발명되며 캔을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됐어요. 캔은 튼튼하고 음식을 오래 보관할 수 있어 전쟁 중에도 많이 사용됐지요.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전투식량 중 절반 이상이 캔에 담겨 전달됐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체불명의 남자가 놓아준 오작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역할을 하지요. 그 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 강력한 폭약이 개발됐는데, 그중 하나가 1847년 이탈리아 화학자 아스카니오 소브레로가 발명한 ‘니트로글리세린’이에요. 액체 상태의 니트로글리세린은 폭발하면 원래 부피의 1200배 이상으로 팽창하고, 5000℃ 이상의 열을 뿜어내는 엄청난 폭발력을 ... ...
-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없는 곳에서 어떻게 전기를 수확하는지 궁금하소? 하늘과 바람과 별과 전기지난 201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 애스워스 라만 교수팀은 컴컴한 밤하늘에서도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발전기를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지구와 밤하늘의 온도차를 ‘열전 소자’를 이용해 전기 ...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붙였답니다. 중성미자, 나는 네가 남기고 간 흔적을 알고 있다 물리학자들은 1946년에야 중성미자만이 남길 수 있는 흔적을 찾아냈어요. 실험을 이끈 미국 물리학자 프레더릭 라이너스는 이 업적으로 1995년 노벨 물리학상까지 수상했지요. 라이너스는 중성미자가 양성자와 반응하면 중성자와 ... ...
- [한 장의 과학] 원자외선 오로라가 반짝반짝! 혜성에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혜성에서 오로라가 포착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오로라가 관측된 곳은 태양을 6.45년 주기로 공전하는 ‘혜성 67P’예요.연구팀은 2016년 임무를 끝낸 유럽우주국(ESA)의 혜성 탐사선인 로제타호가 남긴 데이터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67P의 핵을 둘러싼 가스와 태양의 플라즈마 입자가 상호작용하며 ... ...
- [진흙] 어디어디 숨었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바다 지형인 ‘갯벌’, 깊은 심해 등에 있어요. 진흙은 화성에도 있어요. 지난 2018년 6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큐리오시티는 게일 충돌구 아래에서 오랜 기간 땅속에 묻혀있던 이암을 채취했어요. 이암은 진흙처럼 매우 작은 알갱이가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에요. 연구팀은 이 ... ...
- [진흙] 지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있나요? 자연을 지키기 위해선 그곳에 사는 시민들의 공감과 합의가 필요해요. 저는 1990년대 중반부터 새만금 갯벌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2006년 새만금 갯벌은 간척 사업을 위해 방조제로 막히고 말았죠. 그 지역에 사는 시민들에게 갯벌의 중요성을 제대로 알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 ...
- [기획] 인류를 구한 불멸의 세포, 헬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975년, 미국 볼티모어에 살던 로렌스 랙스는 기자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고 충격에 빠졌어요. 약 20년 전 자궁경부암으로 세상을 떠난 엄마 헨리에타 랙스가 살아있다는 전화였어요. 정확하게는, 엄마의 암세포가 살아남아 생물학 연구에 사용된다는 내용이었죠. 도대체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 ...
- [헬라세포] 100년 만에 보상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연구용으로 전 세계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죠. 헨리에타 랙스가 탄생한 지 100년이 되는 올해 8월, 유가족에게 처음으로 경제적 보상이 돌아가게 되었어요. 영국의 생명공학 기업 ‘앱캠’과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세포생물학 연구 책임자인 사마라 랙 피터슨의 연구실이 ... ...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하는 법안이에요. 정부는 첩약 급여화를 바라는 국민이 많고, 일본은 1961년, 중국은 1995년부터 이미 첩약에 보험을 적용했다며,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어요. 하지만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약사회 등은 한약이 안전하고 효과 있는지 먼저 살펴본 뒤, 건강보험 혜택을 줘야 한다며 반대했지요.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