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한번 확인됐다. 연구진은 전보다 더 발달된 기법인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브란카지오
박사
와 같은 결과를 냈다.농구공의 위치에 따른 림의 영역 림과 농구공이 이루는 각에 따라 공이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달라진다. 이루는 각이 90°면 공이 들어갈 수 있는 영역은 림의 크기와 같다. 각이 ... ...
Part 3.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밤낮 가리지 않고 무대에 올랐다. 오직 혼자의 힘으로 가수의 길을 개척한 것이다.한린
박사
역시 사교육 없이 아버지의 도움을 발판 삼아 수학의 꿈을 키워왔다. 하지만 그에게 대한수학회에서 개최하는 여름·겨울학교가 없었다면? 고등학교 때부터 지원받은 장학금이 없었다면? 아마 그는 먼 길을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반면 카드뮴은 생명체에 해로운 원소다. 2000년 미국 프린스턴대 지구과학과의 토드 레인
박사
는 탄산탈수소효소에 들어 있는 아연을 카드뮴으로 대체해 살아가는 해양 조류를 발견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극한 환경에서 사는 미생물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생존 전략을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실으면 된다는 답을 내놨다. 우주에서 다시 원래 모습대로 펼치면 된다는 것이다. 랭
박사
는 자동차 에어백도 설계했다. 에어백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접혀 있다가 자동차에 ‘사람이 다칠 만한’ 충격이 가해지면 기체가 들어가면서 순식간에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다. 에어백을 아무렇게나 구겨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고양이가 개보다 사교성이 낮은 것도 뇌 크기와 관계가 깊은 셈이다.연구팀의 수잔 슐츠
박사
는 “협동과 협력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규명한 사실을 꼽았다.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동유전체연구소 에드워드 루빈
박사
팀은 쓸모없어 보이는 쓰레기 유전자가 10%의 ‘현역’ 유전자가 작동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천문우주 분야에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무인탐사로봇 스피릿과 어퍼튜니티를 이용해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실에서 공부했다. 그를 눈여겨 봐 오던 김 교수는 이 교수가
박사
학위를 받고 모교로 돌아오자 바로 자신이 운영해 오던 ‘선박저항성능 연구실’을 맡겼다. 이 교수가 현재 선박저항성능 연구실의 2대 지도교수가 된 것도 그 때문이다. “유체흐름을 알면 선박이 보인다”이 ... ...
성과 인정받은 동아사이언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받았다. 2010년에 ‘2009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이스라엘의 아다 요나트
박사
단독 인터뷰’ 등 생명과학 관련 보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과학동아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잡지로 지난 25년 동안 다양한 과학계의 소식을 전하며 과학의 대중화를 이끌어 왔다.허두영 동아사이언스 ... ...
아름다운 수학 선율, 노력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궤도를 예측하는 단계에 이르렀죠.”요코즈 교수가 동역학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박사
과정 지도교수였던 미셜 에르만 교수의 영향 때문이다. 그는 동역학계의 창시자다. "에르만 교수는 제가 기하학이나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는 수학보다 어떤 현상을 해석하는데 재능이 있다는 사실을 ...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회사 시계의 초침이 어디에 오면 점심시간이 시작되는지, 평소 1분 1초까지 세심하게 따지던 클락. 시계 없이 살아보니, 시간은 제멋대로 빠르게 또는 천천히 흘러가는 것 같다. 아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때문인 것 같다고 느끼고 있던 순간, 다들 어마어마한 짐을 짊어지고 하나둘씩 나타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