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다음의 네가지 방법으로 면역시스템을 무력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첫째로 T
세포
가 암
세포
를 찾아낼 때 흔히 사용하는 분자(암 특이 항원 등)의 생성을 방해하고, 또 이 분자들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함으로써 T
세포
가 암
세포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하게 한다. 둘째로 암
세포
가 면역시스템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교육이라는 대표적 환경요인이 기여한다는 증거가 있다. 알츠하이머성 질환은 뇌의 피질
세포
들이 정상 노화에 비해 빠른 속도로 파괴돼 극단적인 인지기능 저하와 함께 매우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 노인기 치매다. 뇌의 피질은 각종 인지기능을 담당하는데 이 질환을 앓는 노인들은 ... ...
03 암
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한약으로 암을 막을 수 있을까. 그것도 서양적인 방법으로 극복하지 못한 암 전이 과정을. 하지만 최근 한방으로 암 전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개발 ... 후 잔여암의 재발 방지와 전이를 막기 위한 보조적 수단일 뿐이다. 한방 자체만으로 암
세포
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즉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이상이나 암 전이 과정의 비정상적인 생리작용을 인지하는 T
세포
를 도와 암의 전이와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동서 따로 없는 암 극복 방안현재 우리나라는 한의학과 서양의학이 의료제도상으로 나뉘어져 동서 의학의 협동진료가 어려운 형편이다. 더욱이 서양의사는 ... ...
노벨상 1백주년과 함께 밝혀진 생명과 물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탐험하자.(1) DNA와 노벨상생명체의 유전정보는 DNA에 염기서열 형태로 저장돼 있다. DNA는
세포
가 분열할 때 유전정보를보존하기위해그대로복제된다. 또 DNA는 RNA를 통해 생체에서 실제 일을 하는 단백질의 정보를 갖고있다. DNA의 유전정보는 mRNA로 전사되는데, mRNA는 필요한 부분만 선택되는 과정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
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개발하기 위해 암
세포
에 대한 연구에만 치우친다면 결코 항암제는 개발될 수 없으며 정상
세포
가 생명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선행돼야만 한다는 것이다.한국에서도 생명현상에 대한 기초연구가 더욱 활성화돼 미래에 노벨상을 수상하는 생명과학자가 나올 수 있기를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환자를 대상으로 약효를 평가하는 임상 2상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밀리칸주의 경우
세포
를 녹이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투여해야 가장 효과가 큰지가 밝혀졌다.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에서 진행된 간암 치료에 대한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대신 원자와 원자간에 미치는 힘을 조절하기 때문에 세라믹과 같은 물체뿐만 아니라,
세포
와 같이 부드러운 물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때문에 AFM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전자’가 ‘원자’에 밀려난 이유하지만 SPM이 전자현미경보다 해상도가 높고 영상을 얻는 방법이 다르다는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나가면서 한가닥의 mRNA를 만든다(전사, transcription). 이후 mRNA는
세포
핵을 빠져나가
세포
질에 있는 리보솜에서 단백질을 합성한다(번역, translation). 이같은 단백질 합성 모델은 이미 수십년 전에 밝혀졌다.DNA 전사 과정 포착하지만 실제 모습은 한스마 부부에 의해 최초로 선보였다. 이를 위해 한스마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강한 자극은
세포
에게 일종의 스트레스가 되지만, 규칙적이고 부드러운 자극은 식물
세포
의 성장을 자극하게 된다. 결국 사람과 마찬가지로 식물 역시 클래식음악에서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다. 성적 유인물로 공격자 혼란시켜식물사회는 그리 평화로운 곳이 못된다. 극적인 생과 사가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