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저균 혈액
세포
침투 막는 항체 개발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흡입 탄저병에 걸린 위독한 환자를 완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급진전되고 있다. 최근 AP 통신은 미 육군전염병연구소 연 ... 더 치명적인 치사인자를 들여보낸다.이번에 개발된 항체는 방어항원이 달라붙는 혈액
세포
의 표면 지점을 은폐함으로써 이런 과정을 차단한다 ... ...
03 암
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한약으로 암을 막을 수 있을까. 그것도 서양적인 방법으로 극복하지 못한 암 전이 과정을. 하지만 최근 한방으로 암 전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개발 ... 후 잔여암의 재발 방지와 전이를 막기 위한 보조적 수단일 뿐이다. 한방 자체만으로 암
세포
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는 미생물.
세포
벽은 없지만 3층으로된
세포
막에 쌓여있는 것이 특징. 폐렴과 관절염 가운데는 미코플라즈마 때문인 경우가 있다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의존하려는 경향에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보통 암환자의 완치여부는 최소 5년 동안 암
세포
가 발견되지 않아야 한다. 글리벡을 복용해 진정으로 백혈병이 완치됐는지는 좀더 지켜볼 일이다.글리벡 가격 책정 두고 국제적 마찰글리벡의 본격적인 국내 시판을 앞두고 제조사인 노바티스사와 우리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사이의 시냅스 연결 강도를 높여주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만약 연결 강도가 높아진 신경
세포
들이 죽게 되면 기억이 손상받게 되는 것이다. 사만다는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이 저장돼 있는 뇌 영역에 큰 손상을 입어 기억상실증에 걸린 것이다.과거를 잃어도 기술은 남아때론 기억된 내용 자체는 ... ...
궁궐의 우리 나무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40년째 나무와 더불어 살고 있는 박상진 교수의 작품이다.전공은 목재조직학. 나무의
세포
모양과 배열을 광학과 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목질문화재와 관련된 그의 연구는 팔만대장경판의 수종 분석, 거북선의 재질 추정, 익산 미륵사지 출토 목질 유물의 수종 연구 등 나무로 된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전기적인 특성을 가진 나노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나노집게는 생물
세포
를 조작하거나 나노기계를 만들고 미세 수술에도 응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SPM은 쓰이는 탐침이 수nm라는 면에서 그 자체가 하나의 나노 디바이스이다. 나노세계와 우리를 이어주는 매우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환자를 대상으로 약효를 평가하는 임상 2상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밀리칸주의 경우
세포
를 녹이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투여해야 가장 효과가 큰지가 밝혀졌다.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에서 진행된 간암 치료에 대한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따라 심장출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또 땀이 수분섭취량를 넘어 유출될 때는
세포
질 안과 밖의 수분량이 감소하며, 체온은 상승하고 지구력은 감소한다.탈수상태를 경고하는 신체적 대응반응이 바로 갈증이다. 보통 체내 수분이 체중의 1% 가량 손실됐을 때 갈증현상이 나타난다.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대신 원자와 원자간에 미치는 힘을 조절하기 때문에 세라믹과 같은 물체뿐만 아니라,
세포
와 같이 부드러운 물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때문에 AFM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전자’가 ‘원자’에 밀려난 이유하지만 SPM이 전자현미경보다 해상도가 높고 영상을 얻는 방법이 다르다는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