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창출’ 또는 경제 발전의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학, 특히 기초과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비밀의 끄트머리를 더듬어 찾아가는 길이다. 표를 얻기 위한 수단은 더욱 아니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사업 구상 10년 만에 얼마 전 본격적으로 구축에 들어갔다. 땅을 파고,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요즘 제일 잘 나가는 과일은 자타공인 딸기다. 국산 품종 ‘설향’이 85%차지 지금 우리가 먹는 딸기는 칠레 야생 딸기가 북아메리카 딸기와 만나 탄생한 품종이다. 유전적으로는 염색체가 8쌍인 8배체 식물로, 2010년 스페인 연구진이 유전체를 해독한 결과 유전자가 총 7096개인 것으로 밝혀졌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번 발사에서는 거센 풍랑으로 벌룬과 페이로드 회수에 실패했다. 동서로 폭이 좁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기구 회수는 바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바다를 통한 임무장비 회수 기술을 보유한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수를 제외한 벌룬의 발사와 추적까지는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갑자기 뭐해서 먹고 살아야 하나’ 그런 불쌍한 생각이 들게 만들어야 된다고. 그래야 우리가 살아 남고 계속 연구소를 다닐 수 있지. 결국 멀리 보면 그게 가장 중요한 거 아니냐? 이 조그마한 조직에서 실적 하나 더 내서 평가 조금 잘 받는 거 보다, 내가 먼저 승진하니 나중 승진하니 그런 거 보다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화산가스가 지표수를 오염시켜 생물권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하지만 지각변동이 우리에게 피해를 주는 것만은 아니다. 화산에서 분출된 화산재는 오랜 시간이 흐르면 비옥한 토양이 된다. 농작물이 생장하는 데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셈이다. 또 화산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온천을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답니다. 수학자가 아니지만 수학을 연구하는 사람이죠. 누가 있을까 싶지만, 우리가 당연히 수학자라고 생각한 사람도 실은 ‘아마추어’였던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사람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피에르 드 페르마랍니다. 수학자도 인정한 아마추어 수학자, 페르마‘정수론의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현상을 보고, 청어들의 방귀가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추정했답니다. 우리도 혼자 있을 땐 가만히 있다가 친구가 오면 말을 많이 하잖아요? 연구팀은 청어들의 방귀가 잦아지는 게 이와 비슷한 현상일 거라고 생각한 거예요. 이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벤 윌슨 교수팀은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위해서다. 근육은 가느다란 근섬유 다발로 이뤄져 있다. 운동을 하면 근섬유가 손상되고, 우리 몸은 혈중 아미노산을 끌어와 새로운 근섬유 세포를 만들고 손상된 근섬유를 회복시킨다. 운동을 반복하면 근육세포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근육이 굵어진다. 실제로 백 선수의 팔뚝은 18인치가 넘었다. 백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당선 이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우리 뇌에는 완충 기능이 있습니다. 아드리아나 갈반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심리학과 교수팀은 2016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실망감을 느꼈다는 시민 60명을 면담하고 이들의 뇌를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헬륨(He)부터 26번인 철(Fe)까지 상대적으로 가벼운 원소의 탄생과정만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금, 은, 납 등 철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 중성자별 내부에 있는 중성자로만 이뤄진 고밀도 핵물질이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을 열쇠로 여겨진다. 이를 위해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