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5,69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바깥에서 기계 자극을 통해 뇌척수액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
를 실제 노화 및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 ...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얼굴, AI가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4.01.27
인종의 경우 AI 얼굴과 실제 얼굴 사이의 인식률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웰 교수는 이
결과
에 대해 보도자료에서 “AI 알고리즘이 주로 백인의 사진을 통해 훈련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나아가 연구팀은 사람들이 왜 AI 얼굴을 실제 사람으로 착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 참가자들에게 실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
2024.01.27
휴식을 취한 조건에서는 공부 시작 시간과 끝을 알리는 알람이 울리도록 했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본인이 알아서 시간을 조절하게 했을 때보다 25분이든 12분이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열심히 일을 하고 이후 5분이든 3분이든 역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쉬게 했을 때 더 집중이 잘 되고 일을 ... ...
"완전 채식 여성, 임신합병증·저체중아 출산 위험"
연합뉴스
l
2024.01.26
2020년엔 약 3%로 크게 늘었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 완전 채식이 늘고 있다. 이 연구
결과
는 북유럽 산부인과학회 연합회(NFSOG) 학술지 '스칸디나비아 산부인과학 회보'(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최신호에 발표됐다. ...
"세포 내 단백질 조절해 뼈·치아 재생 촉진"
연합뉴스
l
2024.01.26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원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IF 14.0)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제공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먹이 사냥에서 얼룩말이 차지하는 비율은 67%에 달했지만 17년 뒤인 2020년 재조사한
결과
42%로 떨어졌다. 생태학자 메레디스 팔머 자연보호비영리기구 '파나·플로라 인터네셔널' 연구원은 '사이언스'에 "생태계가 얼마나 복잡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아름다운 스냅샷"이라며 "마치 실 하나를 잡아 ... ...
'생애 단 3주' 잠까지 줄이며 교미하는 작은 포유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해석했다. 연구팀은 "수면보다 교미를 우선시하는 행위가 반드시 더 많은 번식
결과
를 이끌어낸다고 할 순 없지만 번식에 대한 욕구는 안테키누스들이 짝짓기 철에 수면을 줄이는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그럴듯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수면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요구와 번식 ... ...
손 글씨, 타이핑보다 기억력 향상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두피에 256개의 작은 센서를 부착한 뇌전도(EEG) 검사를 했다. 그
결과
손으로 글씨를 쓸 땐 서로 다른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이 증가했지만 타자를 칠 땐 증가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글씨를 쓸 때 일어나는 시각적 정보와 움직임의 정보가 학습을 촉진하는 뇌 연결 ... ...
인류 첫 지구 아닌 행성 비행 화성탐사 '인저뉴이티' 역사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했다"며 작별 인사를 고했다. NASA는 인저뉴이티가 지난 1월 18일 보낸 촬영물을 확인한
결과
인저뉴이티의 회전 날개가 착륙을 시도하던 중 1개 이상 파손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날개 파손으로 더이상 비행할 수 없다고 판단, 인저뉴이티의 임무를 종료하기로 했다. 2021년 4월 ... ...
'젤리' 입자로 1000km 달리는 전기차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팽창으로 인한 내부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나노 실리콘 음극재에 비해 100배 큰 마이크로 실리콘 입자(5μm)를 사용했음에도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졌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기존 전지와 유사한 이온 전도도를 보이면서도 에너지 밀도는 약 40%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