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연두금파리의 성장 속도를 이용해 추정한 2014년 6월 2일 정오 이전이라는 결과와 비교했을 때도 큰 차이가 없다. 또한 곤충을 이용한 사망 시점 추적은 최소 산란 시점을 토대로 결정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6월 1일 오전 5시는 오차범위 안에 들어간다. 유병언의 사망 시점 미스터리가 드디어 풀렸다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성적만 들고 임페리얼칼리지(ICL)에 지원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고등교육(THE) 세계 대학 순위 8위, QS(Quacquarelli Symonds) 세계 대학 평가 9위에 랭크됐다. 이 결과를 절대적으로 신뢰한 것은 아니었지만, 적어도 수년간 10위권 이내를 지키고 있는 데에는 분명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다. 전공은 화학과로 결정했다. 화학을 좋아하게 된 이유는 분명하게 설명하기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실습수업이다. 이 프로그램은 창의융합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미대에서 10주간 진행됐고, 결과물도 전시했다. 주 학부장은 “처음에는 학생들이 실제 금속을 손으로 만지고 다루는 것을 어색해 했지만, 금방 적응하고 열정적으로 수업에 참여했다”며 “그동안 수업에서 배운 이론들을 ... ...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래프로 수학 배지 만들고, 테셀레이션으로 에코백 디자인하며 수학 교구와 수학 체험 결과물을 만드는 활동을 주관합니다. 동아리 구성원들은 수학 교구를 만들고 원리를 발표하며 수학을 재밌게 배우고, 각종 대회와 교육 봉사에 가서 어린 학생들에게 실생활에서 쓰이는 수학을 알려주죠.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항해자’라는 명예도 얻었답니다. 보이저 2호에 있는 ‘플라즈마 검출 장치’로 측정한 결과, 12월 10일 이후부터 보이저 2호 주변의 태양풍 입자가 급격히 줄어들었어요. 이는 보이저 2호가 태양풍이 도달하지 않는 곳까지 나갔다는 것을 뜻하지요. 이를 통해 미국항공우주국은 보이저 2호가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번외로 사람이 직접 드론을 조종해 같은 경로를 비행시킨 뒤 기록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자율비행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어요. 10초 정도 빠른 수준이었지요. 물론 반복 비행으로 조종사가 경로에 익숙해지자 더 빨라졌지만, 앞으로 자율비행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것만큼 정확해질 것으로 ... ...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전 인간이 피라미드를 만들 당시 브라질 흰개미도 그들만의 왕국을 짓기 시작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어요. 지난 11월 19일, 영국 샐퍼드대학교 스티브 마틴 연구원은 브라질 북부에서 약 2억 개의 흰개미 언덕을 발견했어요. 처음에는 그저 흙더미라고 생각했지만, 차를 타고 20여 분을 달려도 계속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게이너 연구원은 전세계 6개 대륙 62개 포유류 종의 일상을 생체 칩 등을 활용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도시처럼 인간과 가까이 사는 동물과 그렇지 않은 동물을 비교했지요. 그 결과, 인간과 가까이 사는 동물은 그렇지 않은 동물보다 평균 1.36배 야행성화 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는 밤과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발견된 20곳을 정하고, 해마다 같은 곳을 찾아가 개체 수를 조사했지요. 그 결과 익산 왕지평야 지역에서는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들었고, 황등면 일대에서는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늘어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제 생각엔 흙 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면서 수원청개구리 개체 ...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최초의 동력 비행’이에요. 라이트 형제는 그 후로도 비행을 3번 더 시도했어요. 그 결과 마지막 네 번째 시도에서 59초 동안 약 260m를 비행했지요. 이 순간 라이트 형제는 자신들이 ‘비행기를 발명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답니다. 첫 동력 비행, 성공 비결은?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 비행은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