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못 느끼고 매운맛도 모를까?2000년 줄리우스 교수팀은 TRPV1이 없는 생쥐를 만드는데
성공
했다. 이 녀석은 평소에는 정상 생쥐와 구별이 잘 안 된다. 그런데 캅사이신을 투여하거나 주위 온도를 높였을 때는 행동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물에 캅사이신을 탈 경우 정상쥐는 한번 마셔보고는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우수한 특성을 가진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이론적으로 발견한 뒤 합성에
성공
했다.장 교수가 발견한 새로운 개념의 초전도물질도 이론적으로 개발된 뒤 합성됐다. 초전도물질은 온도를 낮추면 저항이 0이 돼 전기 에너지 손실이 없고, 전류가 많이 흐르면 강한 자기장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장 ... ...
“혼자서도 잘 해요” 로봇 시큐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어요. 시험 주행에서 어른이 걷는 속도인 시속 5.4㎞로 이동하는 데
성공
했지요.시큐로는 기존의 주행로봇들과 달리, 고층빌딩이나 나무숲 때문에 위성이 보내오는 정보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것이 장점이에요. 앞으로 사람이 직접 가기 힘든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잭슨과 워싱턴이란 이름의 모래쥐는 열 번에 아홉 번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
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절반 이하였다. 시넛 박사는 “특정한 모음이 다른 모음보다 더 구별하기 쉬운 까닭은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높낮이나 위치가 변하고, 모음 소리의 진동수가 각기 다르기 ... ...
헬기처럼 떠서 비행기처럼 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수직으로 솟아올라 앞으로 날아가는 무인비행기를 개발해 11월 29일 시험비행에
성공
했어요. 이 무인항공기는 틸트로터형 항공기라고 해요. 헬리콥터처럼 회전날개가 있어 수직으로 뜨고 내릴 수 있어요. 회전날개가 위를 향해서 돌면 사뿐하게 수직으로 떠오른답니다. 공중에 떠오르면 회전날개가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30기의 위성을 쏘아 올려 완성할 예정으로, 지난2005년12월에첫위성인 ‘지오베-A’ 가
성공
적으로 발사됐지. 갈릴레오 시스템이 완성되면 GPS보다더안정적이고정밀한정보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초기개발비용만1조5000억 원에다가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계속 수조가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모두 실패했다는 건 인정해요. 하지만 이번엔 다르다구요. 사람들이 깜짝 놀랄 만큼
성공
할 자신이 있다니까요.”“그런데 왜 하필 까마귀죠? 까마귀가 무슨 돈이 있다고?”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 닥터고글은 까마귀 자판기에 가까이 가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달라고 말한다. 그런데 바로 그 때 ... ...
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교수는 쑥에서 위염을 치료하는 물질을 추출하여‘스티렌’이라는 신약을 개발하는 데
성공
했다. 우리나라에서 식물을 이용하여 신약을 개발한 대표적인 사례다. 바짝 마른 논에도 벼는 자란다포항공과대학교 황인환 교수는 가뭄이 들어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 ...
과학뉴스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신야 교수님은 최근 각각 다른 방법으로 피부 세포를 배아줄기세포로 바꾸는 데
성공
했다고 밝혔어요. 두 연구팀은 피부 세포에 네 가지 유전자를 넣어 배아줄기세포로 바꿨어요.그 동안 배아줄기세포를 얻으려면 난자를 이용해야 했는데 이를 놓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그러나 이 기술은 ... ...
Part 3 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싹 틔우다최근 국립수목원은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3300년 전의 완두콩을 싹 틔우는 데
성공
했다. 이 완두콩은 현재의 완두콩에게는 없는 유전자를갖고 있어 앞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식물의 씨앗은 건조하고 온도변화가 적은 환경에서는 상당히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어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