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최후는 어떤 모습일까. 이 모든 것들의 순환과정을
알
수 있을까. 완벽한 진실은 결코
알
수 없겠지만 과학과 이성의 눈으로 상상이 가능하고, 이는 억지가 아닌 논리를 통해 검증되어 간다. ‘실락원’과 ‘실명의 노래’로 유명한 17세기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은 실명을 하게 된 뒤에야 비로소 신의 ... ...
소년은 늙기 쉽고 연애는 이루기 어렵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여자는 따뜻한 연애를 잘하는 성격일수록 남자가 다가가기 쉬워서 남자가 보내는 신호를
알
아채는 감각이 발달하고요.‘연애도 해 본 놈이 잘 한다’라는 게 괜한 말이 아니더라고요. 남자는 마음에 드는 여자가 있으면 열심히 들이대야 하는거예요. 여자라면 접근하는 남자를 너무 매몰차게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으로 출발할 때만 해도 화성에서 오래 사는 게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미리
알
수 없었다. 응급 상황에는 이제 익숙해졌다. 주로 우주복이 망가져 저체온증, 질식, 저기압으로 인한 질환 때문에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다.저중력이 끼치는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몇십 년 동안 ... ...
두 종류로 판매된 에이즈 신약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맞췄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치료제를 냉동보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칼레트라정제(
알
루비아)는 정제제를 삼킬 수 있다면 15kg 이상의 어린이도 복용할 수 있어 어린이 에이즈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전에 식물의 사진을 찍어 둬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어떤 종의 씨앗인지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디지털카메라를 쓰지만 예전에는 필름카메라로 찍었고 현상한 필름은 일일이 슬라이드로 만들어 채취 날짜와 장소를 써서 보관해왔다.“지금 선별한 5만 장을 스캔해 디지털화하고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체크해보는 것도 이 책의 또 다른 재미다.소설 개천기에는 ‘다빈치 코드’처럼
알
면 재밌는 소소한 코드도 숨어 있다. 전체 4부가 각각 7개로 나눠져 총 28개(동양 별자리 28수와 동일한 수)로 구성돼 있으며, 박 위원이 논문 지도를 하고 있는 천재 소년 송유근 군의 이름을 뒤바꾼 인물(근유)이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것의 최초 발명가가 결코 아니었다. 이 사실들로부터 발명을 인식하는 새로운 방식을
알
수 있다. 누가 과학기술적 인공물을 처음 발명했는가와 누가 그것을 널리 활용되도록 만들었느냐는 종종 일치하지 않는다. 아마도 이것이 21세기 일상적으로 활용되는 기술의 새로운 초상화일지 모른다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람이라면 4분이 조금 안 되게, 푹 익은 면발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4분 정도를 끓이면
알
맞아. 우리 가게와 같은 라면 전문점은 일반 가정집보다 훨씬 센 불을 이용하니까 3분 정도 끓이면 가장 맛있는 라면을 끓일 수 있지. 드라마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으로 다시 보기!아…, 안 돼! 다른 ... ...
수학이 있어 더욱 특별하다! 우표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수학 랭킹이번에는 용이 남매와 함께
알
아보는 별별 우표 랭킹 시간입니다. 우리가 잘
알
고 있는 직사각형이 아닌 특별히 수학적인 모습으로 만들어진 우표를 소개할게요. 이번엔 과학이다! 우표들의 과학 뽐내기어때요? 우표 ... ...
새해 가족 미션, 십이면체 달력 만들기!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빈틈없이 채운다. 케플러는 이 때 생기는 입체도형이 마름모십이면체와 닮았다는 걸
알
아냈다.이제 석류를 먹을 때, 씨앗을 유심히 관찰해 보자. 속이 꽉 찬 열매를 맺으려고 애쓴 석류의 마음이 느껴질 것이다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