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사랑 유형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매운 요리도 있기 마련이다. 사랑도 경우에 따라서 슬픔을 주기도 한다. 그런데 심리
학자
에게 남녀 간의 사랑이 뭐냐고 물으면 어떤 답을 줄까? 애인을 친구로 만드는 스토르게적 사랑윤도현밴드는 히트곡‘사랑 two’에서 ‘처음엔 그냥 친군줄만 알았어. 아무 색깔 없이 언제나 영원하길’이라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남은 찌꺼기가 심하게 쪼그라들면 밀도와 무게가 엄청나게 높은 중성자별이 된다. 천문
학자
안토니 휴이시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1967년 게성운에서 최초의 중성자별을 발견한다.1906년 5월 13일마리 퀴리, 소르본대학교최초의 여성 교수로 임명.퀴리 부부는 1903년 라듐 발견에 대한 공로로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할로겐을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
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선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시료를 붙여 다시 분젠버너 하부의 산화불꽃[酸化炎]으로 가열하면 청색 또는 청록색의 불꽃반응이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15}$g/${cm}^{3}$ 이상의 고밀도 상태다. 이는 원자핵의 밀도보다 3~4배 높은 정도다. 천체물리
학자
들은 중성자별 중심부가 업쿼크, 다운쿼크, 스트레인지쿼크라는 3종류의 쿼크로 이뤄져 있다고 예상한다. 업쿼크와 다운쿼크는 양성자와 중성자를 구성하는 소립자와 달리, 스트레인지쿼크는 양성자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하늘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독일의 천문
학자
J 헤벨리우스가 신설한 것이다삼각근이 섬유화되어 단축되는 병 삼각근구축증(三角筋拘縮症)이라고도 한다주로 팔의 근육주사가 원인이다삼각근은 견관절(肩關節)을 둘러싸며 어깨를 둥그스름하게 형성하는 ... ...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우리와 전혀 다르다는 믿음은 단지 바람일 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독일 철
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남긴 경구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모든 생명체는 (삶에 적응하기 위해) 환상이 필요하며 거짓말은 삶의 조건’이지만 그렇다고 거짓말을 즐기는 괴물이 돼도 좋은 것은 아니다. 괴물을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01)이것은 나중에 논리학·수학기초론·의미론의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
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 ...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구조물을 만났다. 탐사를 이끈 극지연구소 강성호 극지응용연구부장은 “네덜란드 식물
학자
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식생분포와 성장속도를 연구하기 위해 실험 장치로 10년 넘게 관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플라스틱 벽 내부 온도는 주변보다 1℃ 정도 높아 그 안에서 자라는 식물은 주변에 비해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태양과 비슷한 평범한 별 주변에서만 행성을 찾을 수 있다고 예상했던 많은 천문
학자
들은 이 발표에 경악했다. 그것도 최초의 외계행성이 별의 시체 주변에서 발견됐으니 더욱 놀랄 만한 사건이었다. 논란이 있었지만 이 발견은 그해 중반에학계에서 인정받았다.볼슈찬 박사는 1990년 지름 305m짜리 ... ...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사실 지금까지 태어난 메타물질은 대부분 ‘메타박막’(meta-film)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과
학자
들은 앞으로 3차원 구조이면서 좀 더 넓은 파장 영역에서 음의 굴절률을 보이는 메타물질을 개발하려고 노력중입니다. 만약 얇은 막처럼 생긴 메타물질을 차곡차곡 쌓아 굴절률을 다르게 한다면 임의의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