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뉴스
"
기대
"(으)로 총 10,22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속 1200km로 달리는 하이퍼루프 무선통신 환경 국산기술로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안전을 확인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김효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은 하이퍼루프 내 무선통신 전파를 분석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하이퍼루프는 관 내부를 진공에 가깝게 만들고 객차 ... ...
피·소변으로 빠르게 암 진단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전립선암 진단에 성공한 이 기술은 다양한 병원체와 질병 진단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윤경 첨단연성물질연구단 그룹리더(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진이 혈액이나 소변 등 생체 시료를 전처리 하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 ...
일란성 쌍둥이도 자란 환경 다르면 지능·가치관 차이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통해 유전적 특성이 환경에 따라 변하는 '후성유전학' 관련 연구도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
다. 허 교수는 “일란성 쌍둥이도 아무리 같은 가정에서 성장해도 똑같지 않은 만큼 어떤 환경이 쌍둥이들을 다르게 만드는지 관찰하면 도움이 된다”며 “예를 들어 조현병과 같은 질병을 막는 환경 상황 ... ...
오래된 철도교량 개량 기간 40% 단축하는 새 공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개발했다. 국내 철도 교량뿐 아니라, 향후 남북 철도를 연결하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
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17일 노후한 철도 교량을 단기간에 개량하는 ‘판형교 하향식 거더 인상 시공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판형교는 ‘I’ 모양의 보를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교량이다. ... ...
KT "1㎞ 구간 무선 양자암호 전송 성공…국내 최장 거리"
연합뉴스
l
2022.05.17
향후 안정성과 보안성의 우려가 큰 국방·항공·우주 산업의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드론 등 도심형 이동체는 물론 항공기 및 위성 같은 고고도 장거리 이동체용 보안 통신에도 양자암호통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 ... ...
"AI 개발·활용 때 인간 존엄성 보장돼야"…인권위 가이드라인
연합뉴스
l
2022.05.17
인권적 관점서 AI 정책 수립·이행 권고 [촬영 정유진] 국가인권위원회가 인공지능(AI) 개발과 활용 과정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이 보장되도록 공공기관 등이 준수 ...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과 활용 전 과정에서 인권적 가치가 보호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
한다"고 덧붙였다. ... ...
FDA, 값싼 코로나19 치료제
기대
주 '플루복사민' 승인 거부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코로나19 치료제 활용 가능성이 제기되던 우울증 치료제인 플루복사민에 대해 치료제 승인을 거절했다. 픽사베이 제공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우울증 치료제인 플루복사민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치료제로 승인해달라며 미네소타대가 제출한 거부 ... ...
AI 눈 장착한 드론 날려 노후 항만시설물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어려운 항만 시설물 점검이 가능해지고 점검원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드론과 AI를 활용한 항만시설물 점검체계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항만 시설물은 국내 수출입 화물 물동량의 90%를 처리하는 핵심적인 물류 사회기반 시설이다. 다만 ... ...
조영제 없이 인체 내부 혈관 움직임 들여다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30분에서 2분 30초로 줄였다. 개발한 기술은 혈관 움직임을 관찰하는 데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연구팀은 “약물의 순간적 반응, 혈관 구조 정보가 필요한 혈관성 질환, 신경 활동 관찰 관련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에 12일 ... ...
자기장으로 뇌 속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단백질 분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발열을 일으키지 않아 열에 취약한 뇌를 보호할 수 있어 향후 의료 분야에 기여할 기술로
기대
된다. 박찬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알츠하이머 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