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설계도"(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간 누비며 느끼는 감정, 뇌파로 분석…신경건축학 연구 활기동아사이언스 l2018.05.04
- 있다.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지난달 20일 서울 성북구의 한 건축 설계 작업실. 설계도면 대신 눈에 띈 것은 가상현실(VR) 장비와 휴대용 뇌파 측정 장비였다. 이곳에서 신경건축학 연구를 하고 있는 지승열 한양대 연구교수를 만났다. 신경건축학은 공간에 대한 사람의 기분이나 생각을 ... ...
- “평창올림픽 드론 오륜기 설계자, 수학 기하교육에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2
-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1218대의 드론이 공간적으로 배치돼 밤하늘에 오륜기를 수놓은 것을 보셨을 겁니다. 공간에 대한 수학적 사고가 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향후 양자컴퓨터와 인공지능, 3D 프린터 등 4차 산업혁명시대 다양한 첨단 과학의 기본 소양이 될 학문은 현재 교육과정 내에선 ‘기하 ... ...
- 앉아있는 화이트칼라 VS 서있는 블루칼라, 어떤 노동자가 건강위험 클까?동아사이언스 l2018.05.01
- 1일은 근로자의 날이다. 세상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4차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직업군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까지도 직업군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과 서서 움직이는 비사무직이다. 전자를 하얀 와이셔츠 부대라는 의미의 화이트칼라 ... ...
- 현실로 다가온 우주여행, 얼마면 될까?2018.04.26
- 2001년 이맘 때 세계 최초의 민간 우주인이 탄생했습니다. 미국의 백만장자 데니스 티토는 200억 원 이상을 지불하고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방문해 약 8일간 궤도를 돌았습니다. 세계 최초의 우주 여행가 데니스 티토(왼쪽) - 위키미디어 제공 그 이후로 6명의 민간인 우주 ... ...
- 2018 과학기술 진흥 발전 유공자 포상...1등급 창조장엔 서울대 이건우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8.04.22
- 지난 20일 2018 과학의날 행사에서 최고 훈장인 창조장을 받은 이건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 뉴시스 제공 제 51회 과학의 날과 제 63회 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정부가 지난 20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2018과학기술 진흥및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 시상식을 개최했다. 최고 1등급 훈장인 창조장 ... ...
- F1이 알려주는 갈등의 이유...정체성 비슷할수록 파국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2018.04.19
- 흔히 경제적 능력이나 사회적 지위, 정체성 등의 차이가 큰 집단 사이에서 더욱 갈등이 크다고 여겨진다. 빈부 격차, 계급 갈등, 진보와 보수 등의 갈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통념도 재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사회적 지위나 정체성이 비슷할수록 도리어 폭력적이고 파국에 가까운 갈등이 일어난다 ... ...
- 보안 이슈 이후의 인텔, 새 보안 위협 처리 기술 공개2018.04.18
- 인텔이 프로세서 안팎에서 PC의 보안 위협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공개했다. 보안 위협은 날로 위험해지고 더 정교해진다. 특히 개인정보를 비롯해 온갖 금융 정보들이 스마트폰과 PC에 담기면서 기기가 뚫리면 마치 인터넷에서 발가벗고 있는 것처럼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 인텔이 16일(현지 ... ...
- 신체 부담 없이 심장에 페이스메이커 심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7
- 심장 박동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장치, 일명 ‘페이스메이커’ 이식 수술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크기가 크고 배터리 수명도 수년 정도에 불과해 자주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등 인체에 적잖은 부담이 돼 왔다. 국내 연구진이 전력 소모가 적고 부피도 작은 심장보조장치를 개발할 수 있 ... ...
- 두 약물 같이 쓸 때 효과-부작용 예측… ‘AI 약사’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7
- KAIST 개발 AI ‘딥DDI’ 약물-다른물질 간 상호작용 예측 환자에 부작용 없는 음식 추천 최적효과 맞춤형 약물 처방까지 국내 연구진이 특정 약물이 음식이나 건강보조제, 약물 등 다른 성분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일종의 ‘AI 약사’ 역할을 하는 셈으 ... ...
- 용암이 만든 절경....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이언트 코스웨이’은 어떻게 생겨났나?동아사이언스 l2018.04.12
- 화산 인근에선 벌집 모양으로 용암(마그마)이 굳은 주상절리대(Columnar joint)가 종종 펼쳐진다. 국내에선 화산섬인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대포해수욕장에 있는 주상절리대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주상절리대는 북아일랜드에 있는 ‘자이언트 코스웨이( Giant's Causeway, 거인의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