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낙후된 신약개발 시스템만 탓할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TLR 단백질이 과하게 활성화된 경우가 많다. 만약 TLR 단백질에 활성화
신호
를 주는 부분에 ‘딱 맞는 물질’을 설계해서 넣는다면 이런 질병을 고칠 수 있다. 구조기반 신약 발굴법의 원리다. 자물쇠의 구조를 먼저 파악하고 거기에 딱 맞는 열쇠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과거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있다. 수용체의 구조에 딱 들어맞는 리간드가 붙으면 수용체의 구조가 바뀌면서
신호
가 전달된다는 것이다. 당연히 후각도 열쇠-자물쇠 메커니즘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20여 년 전 루카 투린이라는 괴짜가 나타나 후각은 그렇게 작동하는 게 아니라며 딴지를 걸고 나섰다. 즉 후각수용체가 ... ...
“스마트폰 속에 재미있는 수학이 꽉 찼네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컬러사진,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진과 영상을 어떻게 분할하는지, 이를
신호
로 바꿔 보내기 위해서는 몇 자리의 이진수가 필요한지 그림을 보여주면서 강의했다. 박 교수가 우주탐사선이 보낸 사진을 보여 주자 여기저기서 ‘우와∼’ 하는 탄성이 터져 나왔다. 강의를 들은 6학년 최지우 ... ...
오도가도 못하는 도로, 수학이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꽉 막히는 도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들이 연구하는 효율적인 도로 설계와 연동
신호
체계는 물론이고, 안전을 위해 과속을 잡는 구간과속카메라와 졸음운전을 막는 S자 도로의 비밀까지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수학적 해결방법을 만날 수 있다 ... ...
청각장애우 이제 소리를 눈으로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청각소자에 들어와 진동막을 진동시키고 이 떨림이 전기
신호
로 변해 눈으로 볼 수 있는
신호
가 되는데, 이 때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과 거리에 따라 진동막에 도달하는 시간과 울림의 세기가 달라진다. 이 장치는 이런 차이를 이용해 소리의 발생위치를 구분할 수 있게 했다. 이 기술을 안경에 ... ...
‘아르곤 가스’만 있으면 불량품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쏘아서 생긴 기포 등을 없앰으로써 박막 표면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이 또한 분광
신호
의 일정하게 만들어 박막 품질 측정에 도움을 준다. 정 교수는 “본격적인 CIGS 박막 태양전지의 양산이 이뤄질 경우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태양전지의 성능과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박막의 성분조성을 ... ...
동일본 대지진의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
채널A
l
2013.04.25
처음 음파를 감지했고, 이후 25분이 지나서 지진파가 유럽을 지나갈 무렵 한차례 더 약한
신호
를 포착했습니다. 고스 위성은 지구 중력 연구를 위해 유럽우주국이 발사한 것으로 다른 저궤도 위성에 비해 100km가량 낮게 비행한 덕분에 음파를 감지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음파는 지진 외에도 화산이 ... ...
[대한민국 새 심장이 뛴다] 서울 가산동 LG전자 연구센터 현장
동아일보
l
2013.04.25
장비로 측정했다. 기존 3G 통화보다 측정값이 두 배 이상 높게 나왔다. 음성을 디지털
신호
로 바꿔 전송하는데 LTE 기술로 데이터 전달량이 많아지는 만큼 음질이 좋아진다는 설명이었다. 연구원들은 PC에서 소프트웨어를 만든 뒤 시험용 스마트폰에 입력해 통신망에 연결하는 테스트를 수없이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단순히 영양 밸런스가 맞는 메뉴가 아니라 대사질환과 관련된
신호
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단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 앞으로도 생명과학의 발견이 영양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세포밖에 고농도로 있는 나트륨 이온이 세포안으로 밀려오면서 활동전위가 바뀌어 신경
신호
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 연구로 두 사람은 존 에클스와 함께 노벨상을 받았다. 그 뒤 헉슬리는 근육 수축으로 관심을 돌려 미오신 단백질이 섬유단백질인 액틴을 따라 움직이면서 근육 수축과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