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
과학동아
l
201703
움직임과 스마트폰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패턴을 추정해 주기 때문이다.실제로 120
개
의 패턴으로 실험한 결과, 알고리즘이 제시한 패턴을 입력하면 다섯 번 내에 95%의 스마트폰 패턴을 해제할 수 있었다. 특히 패턴이 복잡할수록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한번에 알아맞힌 비율은 패턴이 ... ...
[과학뉴스] 전기 없이 작동하는 메모리 소자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03
드는 전력이 기존 메모리 소자와 비슷해 효율이 낮다는 것이 문제였다.연구팀은 두
개
의 자구벽이 부딪힐 때 자성체 속에 있는 전자들의 스핀 배열이 달라지며 스핀파가 생기고, 스핀파가 다시 자구벽을 밀어내 자성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스핀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이를 이용해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03
휘어졌다. 여기에 쓰레기통 바닥에 설치한 14
개
의 펌프로 물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여섯
개
의 서로 다른 흐름을 만들어 목성의 대기와 같은 형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목성을 탐사 중인 탐사선 ‘주노’가 보내오는 대기 정보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비교하며 목성 대기 연구를 지속할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03
태어나고 어른이 될 때까지 엄마 혹은 아빠 버전 하나만 발현됩니다. 인간의 경우 수백
개
의 각인 유전자가 있을 걸로 예상됩니다(doi:10.1016/j.mam.2012.06.009).유전자가 엄마, 아빠를 구별하는 것과 관련된 대표적인 질병이 ‘엔젤만 증후군’ 입니다. 주된 증세는 지적 장애, 발달 장애지만 까닭 없이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03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환경부가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
개
발사업’의 일환으로 1979~2010년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의 진로 유형별 영향을 통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수도권에는 오히려 약화된 태풍이 더 큰 피해를 야기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03
것”이라고 밝혔다.그렇다면 이렇게 키운 명태를 언제쯤 맛볼 수 있을까. 이제 막 기술을
개
발하는 데 성공한 수준이기 때문에 당장 식탁에 오르기는 힘들다. 변 박사는 “어업인들에게 수정란을 분양하고 기술 지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면 육상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03
길에 대동맥류 파열로 공항에서 쓰러져 6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집적회로를
개
발한 공로로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잭 킬비 박사의 공적을 다룬 노벨위원회의 해설서에는 집적회로와 함께 강대원 박사의 모스펫을 중요한 발명으로 꼽았다. 이런 공로로 강 박사는 토머스 에디슨과 라이트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
수학동아
l
201703
불가능하다. 헝가리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게임이론과 경제행동’에서 수학적으로 두
개
이상의 변수를 동시에 최대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바다에서 해산물을 포획하는 사람의 수와 만족이 동시에 최대로 될 수 없다는 뜻이다.제주 해녀들은 수학적으로 증명하진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
수학동아
l
201703
삐걱거리는 소리만 내던 덮
개
가 몇 번 더 힘을 주자 뜯어져나왔다. 하림은 환풍구 덮
개
를 바닥에 아무렇게나 내려놓았다. 이렇게 꾸며 두면 납치범은 하림이 환풍구 속으로 도망간 줄 알 터였다.문 밖으로 나와 왼쪽으로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 잠시 고민했다. 이 곳을 전혀 모르는 상태라 순전히 ... ...
[과학뉴스]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성능 수천 배 높였다
과학동아
l
201703
국내 연구진이 빛의 산란을 조절하는 새로운 기술로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크게 끌어 올렸다.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이 빛의 위상을 조절해 홀 ... 교수는 “빛의 산란을 이용하는 기술로 지금의 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대체하는 기술을
개
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