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겉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알고 보니 신종이네?몸집이 큰 포유류는 사람들의 눈을 피해가기 어렵다. 하지만 때때로
겉
모습이 비슷해 한 종류의 생물로 알려져 있던 생물이 여러 종의 다른 생물로 밝혀지기도 한다. 동남아시아에 사는 구름표범은 최근 DNA 검사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종으로 나누어졌다. 실제로 확인 결과 두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12
진 뒤 서쪽 하늘 낮게 세 천체가 삼각형을 이루며 나란히 늘어선다. 금성과 목성 사이의
겉
보기 거리는 약 2°로 보름달 크기의 4배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2월 29일 금성 대신 수성이 12월 29일에는 금성 대신 수성이 목성, 달과 한자리에 모인다. 세 천체는 해가 진 뒤 지평선 가장 위로부터 목성,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12
밝기는 무한대가 돼야 한다.
겉
보기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감소하지만
겉
넓이는 제곱에 비례해 증가한다. 공껍질 하나하나의 전체 밝기는 반지름, 즉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하다. 우주가 무한하다면 무한히 많은 공껍질을 상상할 수 있으며 밤하늘의 밝기는 무한대가 된다. 제시문_나 시간에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11
없으면 만들기 어렵다. 또 패스트리 같은 종류도 첨가제가 많이 들어간다. 결국
겉
모습이 다채롭고 입에 감기는 빵은 첨가제의 작품인 셈이다.한편 식품이 썩지 않고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보존료도 식품첨가물의 중요한 목록이다. 보존료로는 안식향산이나 파라옥시안식향산의 에스테르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10
제비와 귀제비의 집도 훌륭하지만, 새 전문가들이 최고로 꼽는 집은 까치집이다.
겉
에서 보면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대충 엮어 놓은 것 같은 까치 둥지를 사람이 직접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까치가 둥지를 하나 만드는데 사용하는 나뭇가지는 2000여 개. 둥지 하나를 완성하는데 짧게는 1개월,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10
해서 음량이 2배가 되지는 않는다. 벨은 실험을 통해 소리의 세기가 약 10배 증가해야
겉
보기 음량이 약 2배 커짐을 밝혔다. 소리의 세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소리의 세기(세기레벨) = 10log I/I0 I는 측정된 소리의 세기이며 I0는 기준값(10-12W/m2)이다. 보통 사람들이 대화하는 소리의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10
거칠어도 자연 그대로 약간 거무튀튀한 색을 띠는 사과를 고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겉
만 보고 판단하지 말아야 할 과일이 또 있다. 포도를 잘 살펴보면 하얀 가루가 묻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 가루를 보고 농약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가루는 포도가 함유한 당분이 밖으로 ... ...
[지구과학]암석의 변성작용
과학동아
l
200810
공기 중에 많을수록 늘어난다. 결국 응축되는 분자 수가 증발하는 분자 수와 같아져
겉
으로 보기에 아무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동적평형이라고 한다. 동적평형 상태에 있는 증기의 압력을 증기압력이라고 한다. - 고등학교 화학 Ⅱ 교과서 강수 이론 중 빙정설은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9
스펙트럼형을 측정했다. 철수가 측정한
겉
보기 6등성인 별 A의 시차는 0.3″이다. 별 B는
겉
보기 1등성으로 시차는 0.05″이고 스펙트럼형은 둘 다 K형이다. 단 모든 별은 흑체로 가정한다. 1) 별 B의 실제 밝기(광도)는 별 A의 몇 배인지 구하라. 2) 철수는 별 B와 태양의 시직경(관측자가 항성의 지름을 본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08
올 여름 늦은 저녁 동쪽하늘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목성 촬영에 도전해보자. 목성은
겉
보기 밝기가 밝고 다른 행성에 비해 시직경이 크기 때문에 비교적 촬영하기 쉽다. 게다가 목성 주위를 도는 4대 위성의 운동과 목성 표면의 다양한 줄무늬는 촬영에 큰 즐거움을 선사한다.행성을 촬영하는데 가장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