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11
- 이렇게 많은 사람과 동물이 섞여 있으면 인수공통감염병의 위험은 없을까. 신남식 서울대 수의과 교수는 “야생이 아닌 사람 손에서 나고 자란 반려동물이 질병을 매개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특수반려동물은 개나 고양이보다 더 다양한 질병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이나 구충, 소독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11
-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열 ...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11
- 과학기술은 마치 우주에 속한 지구 같다. 정통파 과학사회학자로 불리는 홍성욱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10년간 고민한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풀어냈다. 그는 과학기술을 네트워크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과학은 이전 시대에 발표된 논문, 당시에 개발된 기계, 사회적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11
- Untranslated Region·UTR)라고 부르는데, 이 짧은 염기서열도 miRNA의 주요 출처다.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세포 안에서 miRNA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주도적으로 밝힌 과학자다. 김 교수팀은 2003년 드로샤(Drosha)라는 효소가 miRNA의 전사체(pri-miRNA)를 인식해 염기 60여 개 길이의 조각으로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11
- 산업화와 전문화의 그늘을 지적한 연구였다.그런데 여기, 이 결론에 도전한 사람이 있다. 서울 종로구 김영사 사옥에서 만난 영국 웨스트민스터대 생물학과 루이스 다트넬 교수는 뽀얀 기포가 점점이 박힌 투박한 유리판 하나를 내밀었다. “제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물건입니다. 직접 모래를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11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 내 재활용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오토파지 현상(Autophagy, 자가포식)의 원리를 밝힌 일본 도쿄공업대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지하층을 만들었고, 지하철이 생긴 뒤에는 지하공간을 더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서울시가 구상 중인 지하도시는 실존 모델이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의 언더그라운드 시티다. 언더그라운드 시티는 1962년에 건설된 지하쇼핑센터를 1984년~1992년에 걸쳐 확장한 뒤 2008년 최종 완공한 것이다. ... ...
-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2016년 4월 중순, 일본 큐슈 구마모토에서 대지진이 발생했어요. M7.0 정도의 어마어마한 강진이 14일과 16일, 두 번에 걸쳐 연속으로 일어났답니다. 그 후 700회 넘는 여진까지 계속 발생했지요. 구마모토 주민들은 지금도 공포에 떨며 불안정한 대피 생활을 계속하고 있어요.게다가 세계 곳곳에서 비슷 ...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큐슈에는 큰 활화산이 많아요. 그래서 이번 지진이 화산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컸지요. 실제로 16일, 큐슈의 아소산이 분화를 시작하기도 했답니다. 지진과 화산은 정말 관련 있을까요?일본 지진은 백두산에 영향을 준다? 안 준다?화산은 지진처럼 땅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판의 경 ... ...
- INTRO. 빅뱅의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610
- 아인슈타인, 프리드만, 허블, 가모프. 우주의 신비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이다. 이들의 노력 덕에 인류는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게 됐다. 하지만 우주 탄생의 순간이 어땠는지는 추측만 할 뿐이다. 지금까지 그곳으로 가는 문은 굳게닫혀있었다. 최근에야 이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 그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