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5,3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06
발생했다는 얘기다. 인간의 손목은 로봇 팔과 달리 회전이 불가능하다(한
쪽
손으로 다른
쪽
팔뚝을 잡아 고정시켜놓고 문고리를 돌리는 동작을 해보자. 손목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걸 깨달을 것이다). 대신 팔뚝에 있는 두 개의 길다란 뼈가 서로 X자로 교차하면서 팔 전체가 비틀리듯 돈다. 최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
연구팀은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81개 언어의 의미 네트워크 결과를 모두 더했다.(148~149
쪽
네트워크 그림) ‘달-해’의 연결고리가 스페인어에도 등장하고 일본어에도 등장한다면 ‘달-해’ 링크(연결선)의 가중치를 2라고 지정하고 네트워크의 연결선을 2배로 굵게 그렸다. 관련된 의미가 많은 단어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l
201606
유명했던 사람이라고! 이 사과 때문에 여기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혀 있지. 내가 출구
쪽
으로 가기만 하면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우르르 떨어져 출구를 막아버리거든.”“그러면…, 아! 아이작 뉴턴이요?”기적의 해 1666년사과를 들고 있는 남자는 17세기 과학혁명을 이끈 뉴턴이었다.“정말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06
된 건 최근이다. 1998년 과학자들은 초신성 Ιa형을 이용해 우주가속팽창을 발견했다(44
쪽
박스 참조). 가속팽창의 동력원은 암흑에너지라는 가설도 이때 생겼다.2011년 노벨상을 받긴 했지만, 천문학계에선 우주가속팽창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Ιa형 초신성을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06
그대로 적용된다. 회전이 가능한 의자에서 내가 몸을 왼
쪽
으로 돌리면 의자는 오른
쪽
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은 원리다. 세 면에 모두 토커가 달려있기 때문에 이들의 회전을 이용하면 위성의 방향을 3차원으로 조절할 수 있다.자기 토커에는 위성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설치돼 있다.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06
모두 타격 지점을 기준으로 오른
쪽
을 향하고 있다면 사건이 발생할 당시 왼
쪽
에서 오른
쪽
방향으로 타격이 이뤄졌다고 추론할 수 있다. 푸페의 법칙은 저속 충격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같은 뼈에 여러 개의 손상이 관찰되는 경우 골절이 중단된 양상을 살펴보면 타격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죽음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전체적으로 둥글면서 모서리가 말려 있거나 3갈래로 나눠진 부분이 있어요. 잎맥은 가지
쪽
에서 동시에 여러 개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예요.여름이 되면 생강나무에 작은 콩처럼 생긴 초록색 열매가 열려요. 꽃처럼 가지에 붙어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익으면서 점점 자주색으로 변하고 9월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06
토마스 헤일스 피츠버그대 교수가 엄청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증명했습니다. 250
쪽
분량의 논문은 3기가바이트 분량의 컴퓨터 프로그램 알고리즘과 계산 결과로 이뤄져 있었지요.컴퓨터의 힘을 빌린 증명이라 헤일스 교수는 오류가 없는지 한 번 더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2015년에는 ... ...
[Editor’s Note] 역설
과학동아
l
201606
서다’ 중 1파트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입니다”에서 일부 내용을 바로잡습니다. 38
쪽
본문 중 ‘최연택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박사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선 비슷한 일을 해도 비정규직은 정규직 임금의 60% 수준밖에 못 받는다”고 말했다’는 확인 결과 사실과 다릅니다. 최연택 박사는 당시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
과학동아
l
201606
남서
쪽
으로 50km 떨어진 난센빙붕 끝부분이 두 개의 빙산(A, B)으로 쪼개져 북
쪽
으로 이동 중인 모습이 아리랑 5호 위성에 선명하게 포착됐다. 두께가 250~270m, 면적이 100km2에 달하는 빙산은 약 한 달간 총 457km(하루 평균 2.1km)를 이동했다(A 기준). 빙붕이 쪼개진 시각은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