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로"(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0이겠죠. 따라서 피자는 제멋대로 휘게 돼요. 이때 우리가 그래왔던 것처럼 양쪽을 접어 가로 방향으로 살짝 곡률의 크기를 늘리면 피자는 빼어난 정리에 따라 가우스 곡률 0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 곡률이 0이 돼요. 그래서 피자 조각을 접으면 도우가 구부러지지 않게 되는 거죠. 모양 바꾸기 쉬운 ...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움직임에 따라 각기 다른 목소리로 바뀐다. 우선 발성을 하기 위해 폐와 복부에 위치한 가로사이막과 복근이 뇌에서 전달된 신경 명령에 따라 움직여 공기의 압력을 높인다. 이렇게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면 후두가 이 압력을 적절히 나눈 뒤 성대로 전달하고, 이후 비강과 인두 등이 파동을 만드는 ... ...
- 화학 세계의 탐험지도, 원소주기율표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또 다른 특징은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원소를 알 수 있다는 점이에요. 주기율표의 가로줄을 ‘주기’, 세로줄을 ‘족’이라고 하는데, 같은 족에 놓인 원소들은 서로 비슷한 성질을 가지거든요. 따라서 주기율표의 위치를 보면 잘 모르는 원소의 성질도 예측할 수 있답니다. 한국화학연구원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떨어지자마자 한달음에 달려갔다. 직접 거짓말 탐지 테스트를 받아볼 작정이었다. 가로세로 3m 크기의 검사실에 들어서자 한가운데에 놓인 검은색 1인용 소파가 보였다. 소파에 앉자 이내 여러 장치들이 등장했다. 이 경위는 기자의 손바닥에 스티커 형태의 센서 2개를 붙였고, 또 다른 센서 1개는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특수 제작한 알루미늄 가공 틀에 넣어 메타물질 구조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600mm, 1250mm, 850mm인 수조에 넣고 음파가 메타물질 구조를 지날 때 전파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측정했다. 그 결과 초음파가 원래는 곡면파로 나와야 하는데, 신기하게도 메타물질 구조 ... ...
- [전지적 수학 시점] 크레이지아케이드. 삼각 배치로 물풍선 연속 터뜨리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2001년 출시한 크레이지아케이드는 배찌, 다오, 디지니 등 깜찍한 캐릭터를 조종해 가로 15칸, 세로 13칸으로 이뤄진 맵에 물풍선을 놓아 승부를 겨루는 게임이에요. 물풍선을 놓으면 약 3초 후 상하좌우로 물줄기를 뿜으며 터지는데, 물줄기에 닿은 캐릭터는 물방울에 갇힙니다. 이때 상대방이 ... ...
- [수학공부 꿀팁]수학자가 되어 π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완전하진 않지만 얼추 직사각형이 만들어졌다. 이때 세로는 원의 반지름이니 r이 되고, 가로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절반이니 πr이다. 따라서 원의 넓이가 πr²이 되는 것이 눈으로 확인됐다.“발견과 발명은 달라요. 더하기 빼기와 같은 기호는 사람들이 발명한 것이라면, 원주율과 프랙털 같은 ... ...
- [본격 게임 채널] 클래시 오브 클랜, 피타고라스 정리로 마법 잘 쓰기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때는 사라진다는 겁니다. 건물을 얼려 작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얼음 마법은 타일 1칸의 가로세로 길이를 1이라고 했을 때 손가락으로 누른 지점으로부터 반지름이 3.5인 원 안에서만 효과를 발휘합니다. 그래서 몇 번째 타일까지 원에 들어오는 지가 중요하죠. 스마트폰으로는 정확한 지점을 누르기 ... ...
- [과학뉴스] 변신 드론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H자 형태일 때는 가로가 28cm, 세로가 26cm인 공간을 통과할 수 있었고, O자 형태일 때는 가로가 32cm, 세로가 32cm인 공간을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었어요. 또, T자로 변신했을 때 드론은 물체가 어떤 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물체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지요. 연구팀이 개발한 드론은 크기를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각도였다. 자외선에 의한 광이온화가 더 활발해졌고, 고리 비는 더 세졌으며, 토성의 가로줄 무늬는 더 뚜렷해졌다. 연구팀은 대체 얼마나 많은 입자가 고리에서 토성으로 빨려 들어가는지 궁금했다. 그 양을 계산하는 데에는 카시니가 결정적인 답을 줬다. 2004년 토성 궤도에 도착한 이래 무려 13년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