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결
단순
손쉬움
평이
짧음
d라이브러리
"
간단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선택요령③ 카드의 활용을 다양하게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필수적인데 모뎀에는 내장형과 외장형 2가지가 있다. 이중내장형은 값도 싸고 장치도
간단
해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외장형 모뎀은 자체전원공급스위치가 따로 있고 실제 작동상황을 눈으로 볼 수 있어 편리한 반면 가격이 10만원 이상으로 비싸다. 모뎀카드는 확장슬롯에 끼우기만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다가오면 그런 갈등은 더욱 증폭되곘지요.그러나 어떻게 생각하면 이 문제는 아주
간단
해요. 두말할 나위없이 먼저 학과를 보고 지원해야죠. 그래야 후회가 없어요. 그저 간판만 보고 지원했다가 뒤늦게 자신과 잘맞지 않는다고 후회해도 소용없어요.박-동감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대학을 '낮추는' ... ...
PART3 성교육, 어디까지 다뤄야 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발전하는 인간의 모든 신체적 정신적 능력에 관한 이론과 동시에 실천을 가르친다.
간단
히 말해서, 성교육은 모든 의미에서 성적 존재로서의 전인적 교육이라 할 수 있다.성교육은 출생 직후부터 시작해야 한다. 유아는 자신의 신체와 신체적 반응에 익숙해야 하고 애정을 받아들이고 표현하는 것을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확실히 떨어져요. 그러다가 8월 이후 재수생 성적을 차츰 잠식해 오지요.그 이유는
간단
해요. 재수생은 국·영·수외 6과목에 기본실력이 있는데 반해 재학생은 8월부터 그 과목들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때문이지요.그러나 2~3개월간 집중적으로 공부했다 하더라도 결코 다져진 실력이 아니라는 게 ... ...
표준한글코드, 문제점은 없는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87년 KS표준코드로 제정된 이유로는 국제표준통신코드 규격에 적합하여 ASCⅡ와의 식별이
간단
하다는 극히 기계적인 측면만이 강조되어 있다. 또 빈도조사에 따라 현대인이 쓰는 모든 글자를 포함한다고 하였으나 그것은 공문서를 쓸 때도 그 용도를 제한한 것이지 모든 용도에 맞는다는 것은 아니다. ... ...
디베이스강좌⑥―마지막회 디베이스프로그래밍 실습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화면이 그대로 메튜로 돌아가므로 무엇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간단
하게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리턴 키를 누를 때까지 기다리게 하는 부분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CASE choice=3USE PHONE INDEXPHONEPACK?'전화번호부 데이터 파일을 정리했습니다. 리턴 키를 누르세요'ACCEPT TO ... ...
디베이스 프로그램의 기초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자주 사용되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자주 사용되는 디베이스 명령어들을
간단
하게나마 소개할 필요가 있다. ■SET TALK일반적으로 디베이스 프로그램의 서두에는 SET TALK OFF명령을 둔다. 이 명령은 명령어 파일에서 실행되는 디베이스 명령들의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게 한다. 이 ... ...
병렬처리 컴퓨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있다.완벽한 것은 없다마지막으로 이러한 병렬처리 방식을 위한 해결시 고려사항을
간단
히 언급해 보자.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병렬처리분야에서는 응용 자체에서 병렬성을 찾는 것이 기본문제이다.이미 병렬성을 찾았다 하더라도 이와같은 분담일을 처리기에 골고루 나누어 주는 일과 각각 ... ...
형상기억합금이라는 여의봉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체모양으로 변형, 응혈을 걸러낸다. 요컨대 응혈 필터 수술법은 국부마취만으로
간단
신속하게 응혈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치열교정용 선에도 형상기억합금이 활용된다. 보통의 치열교정치료는 이렇게 한다. 활처럼 휜 스테인리스 선재를 이틀에 끼워 활이 펴지려는 힘으로 치아를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달의 사진들은 달표면 3백m 이상 상공에서 찍은 사진들이다.그렇다고 해서 사진찍기가
간단
했다는 말은 아니다. 여러 차례 실패를 거듭한 끝에 1964년에 발사된 레인저 7호가 처음으로 근접 달사진을 찍는데 성공하였다. 이어 1965년에 발사된 레인저 8호는 7천1백37장, 같은 해에 발사된 레인저 9호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