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뼈마디
골관절
마디
조인트
뼛마디
d라이브러리
"
관절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위 게임기용 리모컨인 위모트를 들고 게임을 조작하다 보니 다른 물체와 충돌하거나
관절
에 무리가 생긴 것. 이런 피해 사례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업계 최초로 게임플레이 안정성 가이드를 내놓기도 했다.국내에서는 KAIST 엔터테인먼트공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체감형 게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작업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면 키가 천천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40세가 넘으면 뼈 사이의
관절
이나 뼈 끝의 연골이 줄어 10년에 약 1cm씩 키가 작아진다.코끼리의 키와 표면적사람처럼 코끼리도 발 크기만 알면 키를 알 수 있다.코끼리의 키=2π×발 크기코끼리의 어깨 높이와 앞발 발굽의 둘레를 알면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유 박사는 “현실에 등장하지 않았다고 제자리에 있는 것은 아니다”며 “로봇의
관절
을 구성하는 전기식 모터는 1990년대에 비해 크기와 무게는 반 이하로 줄었으며, 정밀도는 두 배 이상 증가했고,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폴리머 전지도 10년 전 니켈 카드뮴 전지에 비하면 크기가 절반 이하로 ... ...
‘꿀근육’ 있어야 진짜‘꿀벅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따라서 상대적으로 근육량이 적고 운동량이 부족한 여성들은 허벅지 근육을 키워
관절
염을 예방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하지만 건강에 좋다고 해도 굵은 허벅지란 여성에게 공포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엉덩이와 허벅지에 지방이 잘 쌓인다. 이재구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1/2상)을 진행하고 있다. 버거씨병(혈관이 막혀 사지 말단이 괴사하는 질병)과 퇴행성
관절
염, 척수손상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결과를 기다리지 못하고 상업화에 뛰어드는 모습은 자기모순이라고 할 수도 있다.한편 일본 같은 선진국도 자가유래줄기세포 치료를 허용하고 있는데 뭐가 문제가 되냐는 ... ...
최강! 로봇 원정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00개가 넘는
관절
이 있는 거야. 로봇도
관절
을 갖고 있어. 우리가 보고 있는 휴노는 16개의
관절
을 가지고 있어서 저렇게 걷거나 춤도 출 수 있대.로봇 조종사의 길은 멀고도 험해~화려한 로봇들의 공연을 보고 난 주연이와 용진이는 빨리 로봇을 조종해 보고 싶어졌어요. 그런데 갑자기, 전화 속 낯선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상대를 견제하는 전술보다는 정확한 자세와 강한 스퍼트가 중요하다. 각 부위의
관절
을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 힘이 낭비되지 않도록 한다. 상체를 낮추면 공기 저항을 적게 받아 좋지만 너무 많이 숙이면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하므로 얼음을 지칠 때 효율이 떨어진다.스텝 옮겨도 빙판에 붙어 있는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세포부유액을 고분자를 담은 용기에 넣고 풀어 젤을 만든 뒤 시술부위를 절개해 손상된
관절
의 연골부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바르듯 발라준다. 그 뒤 봉합하면 줄기세포가 연골세포로 분화함과 동시에 연골재생을 유도하고 고분자는 서서히 사라진다. 오 소장은 “1/2상 결과 연골이 재형성돼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 덕분에 휴보2는 물건이 부서지지 않게 적당한 힘으로 쥘 수 있다. 휴보2에는 40개의
관절
이 있고, 각각에 전기모터가 연결돼 있다. 이런 부품들을 모두 통제해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인간형 로봇을 만드는 진짜 비결인 셈이다.휴보2의 몸체를 만든 김민수 연구원은 “인간형 로봇은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손발이 오그라드는 식으로 감정이 표현될까. 우리 몸의 근육은 기능에 따라 크게
관절
의 각도를 줄이는 굽힘근(flexor muscle)과 늘이는 폄근(extensor muscle)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의 알통을 만드는 이두박근은 굽힘근이고 뒤쪽의 삼두박근은 폄근이다. 폄근은 주로 자세를 유지하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