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상
정점
절정
천정
천정점
최고부
수석
d라이브러리
"
꼭대기
"(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있다. 폭풍이 쏟아지는 밤, 언덕 위 낡은 성은 삐걱거리며 비명을 지른다. 번개가 성탑의
꼭대기
를 때리면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피조물은 잃었던 생명을 되찾고 눈을 뜬다. 영화 ‘프랑켄슈타인’의 한 장면이다.초기 미치광이 과학자의 모습은 프랑켄슈타인 박사처럼 마법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하므로 그릇에 담긴 수은을 누르는 대기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산
꼭대기
에서는 유리관 안의 수은이 평지에서보다 덜 밀려 올라갔던 것이다.1654년경 독일 마그데브르그시의 시장이었던 괴리케는 지름이 약 40cm인 반구 두개를 구 모양으로 합쳐 진공을 만들었다. 이를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천문대와 애리조나 대학이 협동하여 애리조나주에 있는 해발 2,591m의 홉킨스산
꼭대기
에 설치한 것이다파라믹소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라고도 한다전형적인 파라믹소과의 바이러스로, 빌리언(세포 밖에서 감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 입자)은 지름 150~30nm이고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 놀랍게도 자외선은 수백만년 동안 천천히 성운을 침식해 왔다고 한다. 한편 성운
꼭대기
에 파랗고 흰 빛은 주변 별빛이 먼지에 반사된 결과다.이제 원뿔성운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원뿔성운은 독수리자리에 있는 또다른 기둥과 사촌 간이다. 원뿔성운이나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초음파를 사용하면 정보가 뒤섞여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수 없게 된다.로보킹은 반구형
꼭대기
에도 4개의 적외선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이 센서는 충전대에서 내보내는 적외선을 수신해 청소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덕분에 청소를 끝마쳤거나 청소 도중이어도 전원이 부족할 때 로봇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몸의 아래쪽에 달고 있는 것과 달리 식물은 나비나 벌을 유혹하기 위해 몸뚱어리의 제일
꼭대기
에 대롱 매달아놨다. 동물의 난소에 해당하는 암술을 가운데 놓고 그 둘레에 정소인 수술들이 싸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잘못 생각하기 쉬운 것이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제꽃가루받이(자가수분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일부가 바다 위로 뻗어 나온 덩어리빙붕이 바다로 떨어져 나와 생긴 얼음덩어리산
꼭대기
를 덮고 있는 얼음층바닷물이 얼어 만들어지며 아무리 두꺼워도 1년에 2m 이상 자라지 못한다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이동하면 유빙(pack ice)이라고 부른다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떠 있어 봄에 흔히 볼 수 있는 뭉게구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그에 비해 적란운은 구름
꼭대기
가 산이나 탑 같은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색도 진하며 그 내부에 전하를 많이 집적하여 천둥 번개를 동반하며 그 아랫층에 많은 비를 머금고 있다 따라서 천둥 번개가 치거나 우박이 내릴 경우의 구름은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잠수함이 부상하기 전에 가장 먼저 수면으로 내놓는 것이 바로 이 잠망경이며, 잠망경
꼭대기
에는 작은 ESM 장치가 있어 적의 레이더 추적을 미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요즘에는 잠망경에도 적외선 탐지장치를 달아 야간의 식별 능력을 높이고 있다잠수함은 보통 통신을 외부로부터 받기만 할뿐,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먼저 마차부자리를 찾아야 한다. 겨울밤에 머리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면 북쪽하늘
꼭대기
부근에서 빛나는 오각형을 이루는 다섯 별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마차부자리다.가장 밝은 별인 카펠라를 중심으로 해서 어렵지 않게 오각형을 그려볼 수 있다. 푸른색의 1등성인 카펠라는 하늘에서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