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약 200만 년 전 대륙이 융기하면서 마침내 그 절경을 드러냈지만, 이제는 둔탁한 돌덩이만 남아있을 뿐이다. 이 같은 절경을 실내에 고스란히 전한 예술가가 있다. 국내 대표적 ‘아쿠아스케이프’ 작가 중 한 명인 이영주 작가다. 그는 세스리엠 캐년의 모습을 어른 두 명이 들어갈 규모의 큰 수조(18 ...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자리잡은 분리수거 문화의 영향으로 해마다 매립량이 줄다 보니, 매립부지는 절반가량 남아있는 상태였다. 그래서 당시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 기한은 2025년으로 예상됐다. 시간이 다시 흘러 인천광역시장이 수도권매립지 사용기한으로 못 박은 2025년이 4년 남았지만, 수도권에는 아직도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왜? 설악산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인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둥글둥글한 모습이 됩니다. 울산바위처럼요.제주도 현무암에는 화산 활동의 흔적이 남아 있어요. 용암이 흐른 자국인 ‘새끼줄구조’와 용암이 식으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갈라진 ‘주상절리’가 그 예지요. 화산이 폭발하면서 날아간 ‘화산탄’도 흔히 볼 수 있답니다. ● 필자소개 우경식 ... ...
- [특집] 식물, 이젠 피부에 양보하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금지했다. 다만 동물대체시험법이 없는 경우에는 동물실험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여전히 남아있고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동물실험을 필수로 거쳐야 하는 국가도 있어 동물실험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화장품은 대체시험법을 이용한다. 인간의 장기와 비슷하게 배양해 낸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원전 건물 내 연료봉에 남아 있는 고농도의 방사성 물질로부터 나오는 오염수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책임연구원도 “학계에서 앞으로 해야 할 일은 일본이 계획대로 정화하고, 점검하고, 방출하는지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 ...
- [이달의 우주날씨] 6월 금환일식! 한국에서도 볼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수 있어요. 이와 달리 금환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릴 때 태양의 가장자리만 원모양으로 남아있어 마치 금가락지를 낀 손가락처럼 멋진 고리가 만들어지는 것을 말해요. 지구와 달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졌을 때만 발생하는 현상이죠.아쉽게도 이번 금환일식은 ...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만들었지요. 제주 사투리에는 아래아, 쌍 아래아, 반치음 등 옛 훈민정음의 흔적이 남아있어요. 어떻게 들으면 일본어, 프랑스어 같기도 하죠. Q사투리로 노래를 만드는 이유가 있나요?저는 제주 사투리를 지키고 싶어요. 또, 전국의 지역에서 사투리가 되살아나는 날을 꿈꿔요. 그래서 2014년엔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충분해?”「아니, 그러니까, 연료는 충분한데.」“어차피 할 일 다 했잖아. 여기 남아 있어서 뭐 하겠어. 지구로 바로 직행한다면 시간은 어느 정도 걸려?”「위험지역을 피해간다면 30만 년 정도.」조금 전까지만 해도 200만 년조차 길게 느껴지지 않았다. 이미 지난 시간이니까. 하지만 다시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아직 분명하지 않다. 종의 분류보다 더 흥미로운 질문은 이들의 생김새와 행위다. 동남아시아 곳곳의 섬에서 살고 있던 작은 머리와 몸집의 고인류들은 석기를 만들고 벽화를 그려냈을까.이 질문에 대한 20세기의 답은 결단코 ‘아니다’였다. 벽화를 그리는 것과 같이 고도의 인지 능력이 있어야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있었습니다. 짧은 다항식 시간 안에 그런 걸 하는 알고리듬이 없었기 때문이죠. 따라서 남아있는 박사과정 동안, 이 알고리듬이 가능할지 알아보고 가능하다면 직접 이 알고리듬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곧 지도 교수님과 함께 클리크 너비와 똑같은 성질을 가지면서도 더 간단하게 그래프의 복잡도를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