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름
호칭
성명
고유명
표제
직함
명성
d라이브러리
"
명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조금만 가해져도 수레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데서 이
명칭
이 생겼다 입자(粒子)의 관성력과 유체의 점성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無次元數)로서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무차원화 했을 때의 계수 관성 파라미터 P 또는 ψ는 스토크스의 식(式)이 성립되는 ... ...
3차원 마이크로 영상 시대를 여는 레이저형광현미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들에게 우선 레이저형광현미경의 원리를 설명했다. “레이저형광현미경의 정식
명칭
은 공초점레이저형광현미경입니다. 쉽게 말하면 광학현미경과 형광현미경을 합쳐놓은 것인데 여기에 공초점 기능까지 첨가돼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죠.”이 연구원은 우선 광학현미경부터 차근차근 체험할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마치 열쇠구멍으로 들여다보듯 2백-3백km 상공에서 아래를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이같은
명칭
이 붙었다고 한다. KH와 같은 정찰위성은 보통 자체 동력을 이용해 자주 궤도를 변경하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편이다. 그 대신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는 10-15cm로 왠만한 물체를 식별해낼 수 있다고 한다.이는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구할 때, 천체역학에서 행성의 영년섭동(永年攝動)의 운동을 구할 때 등이다영년이란
명칭
은 이 마지막 예에서 유래한다 각 원소의 고유한 스펙트럼선 또는 그 일부에 의해 구성되는 X선 특성 X선이라고도 한다 물질에 전자선 등을 투사하여 원자의 내각전자(內殼電子) 하나가 방출된 자리에 그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그런 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소중한 존재죠.” 하지만 과학저술가는 아직 낯선
명칭
이고, 과학저술가로서의 활동은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이다.그래서 김 박사는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참여연대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어렵다. 이렇다보니 많은 정보가 쌓여있어도 제대로 활용 못한다.“현재 통일된 식물
명칭
을 정해 싣는 ‘국가표준식물목록’ 을 만들고 있습니다. 40여명의 식물분류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죠.”뒤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도 식물세밀화 제작이나 표준식물목록 작성 등 식물학 연구에 기반이 되는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혈장단백질(血漿蛋白質)의 한 성분 즉, 혈액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한 그룹에 붙여진
명칭
정상인은 감마 글로불린이 혈장단백질의 11~17%를 차지하지만 단백질로서는 균일하지 않고 비슷하게 생긴 무수히 많은 단백질의 혼합물이다그 중에서 약 80%는 분자량 약 16만의 분자종(分子種, 1gG), 약 20%는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름이 붙여졌다.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연구원은 “국내에서 발견한 소행성 5개의 고유
명칭
으로 제안했던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의 영문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3월 6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소행성들은 2000-2003년에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와 이병철 연구원이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
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폐핵연료봉을 잘라 질산에 녹인 다음, 플루토늄 흡착 기능을 가진 특수 유기용매인 인산트리프틸(TBP)에 넣어 플루토늄을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비해 수십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북한 바로 아래 접하고 있는 일본분지의
명칭
에서 보듯이, 이름도 그들에게 선점당했다. 그나마 동해와 울릉분지의 이름을 국제적으로 쓸 수 있는 것도 그동안 국내 지질학자들의 헌신적인 연구와 노력 덕분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자연사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