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할머니의 60번째 생신은 왜 '환갑'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가지고 있어요. 같은 해에 태어난 사람은 같은 띠를 갖지요. 띠에 해당하는 동물은 모두 12종류예요. 2023년은 토끼띠의 해예요. 토끼는 12개의 동물 중 네 번째 동물이지요. 동물 순서에 따라 생각해 보면, 2024년은 용띠, 2025년은 뱀띠의 해가 되지요. 여러분은 어떤 동물의 띠인가요? 만약 201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 팀의 다음 선수가 나와 계속해서 같은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해요. 한 팀의 학생이 모두 패배하면 게임은 종료되고 상대 팀이 이깁니다. [미니 인터뷰] 수학교류전 프로그램은 우리 손에서 탄생했다!제2회 수학교류전 준비위원회 위원장 : 전민성, 부위원장 : 김동황 Q. 어떻게 준비위원회 ... ...
- [과학뉴스] 시조새만 조류의 조상일까? 롱다리 조류 공룡, 푸젠베나토르 발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물갈퀴의 흔적을 조사해야 하지만, 발가락이 제대로 보존돼 있지 않아 두 가지 추측 모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시조’란 맨 처음의 것, 조상이라는 뜻이다. 1861년 독일 졸른호펜 채석장에서 처음 1억 5000만 년 전 쥐라기의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이후로 현재까지 조류의 조상은 시조새로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eDNA 연구와 일반 DNA 연구의 큰 차이점이 드러난다. 현미경을 통한 모니터링과 DNA 연구는 모두 깔따구 유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의미가 있다. 그런데 깔따구 유충이 워낙 작으니 놓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eDNA 분석은 시료에 깔따구 유충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흔적만으로 유충의 유입 여부를 알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 치료법은 환자별 암세포 간의 생물학적 차이, 암세포 내부의 생물학적 차이를 모두 고려해 각각의 특성에 가장 잘 맞는 치료법을 적용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환자 A의 암세포는 전이성과 면역세포에 대한 반응성이 큰 반면에, 환자 B의 암세포는 전이성이 작고 면역세포에 대한 반응성이 ... ...
- 마법약 1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휙!’ 마법 지팡이를 한번 더 휘두르면 각각은 4배가 되지. 그래! 도둑고양이 발톱은 모두 48개가 필요해! 자, 이제 유니콘의 눈물콧물 주스 32병을 십 모형 3개와 일 모형 2개로 나타내 보자. ‘휙!’ 지팡이를 휘둘렀더니 십 모형은 12개, 일 모형은 8개로 4배가 됐어. 십 모형 12개는 백 모형 1개,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나눌리, 진정한 마법사가 되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마법약’이었어요. 그런데, 누군가 마법약에 장난을 친 모양이에요. 마법약은 색깔을 모두 빼앗긴 채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었지요. 마법약의 효과를 되돌리려면, 마법약에 적힌 곱셈과 나눗셈을 계산해 그 답에 맞는 색깔로 칠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랬더니 교수님께서 ‘*이징 모형’을 추천해주셨어요. 이징 모형은 물리학과 수학에서 모두 연구하는데 최근 확률론에서 인기가 많은 주제예요. 저는 이징 모형에서 입자가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연구를 했어요. 이때 작성한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당시 미국 위스콘신대 의대 교수 등은 DNA와 RNA를 쥐의 근육에 직접 주사했을 때 두 핵산 모두 원하는 단백질을 발현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1690918 핵산 기반 면역화 플랫폼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 첫 번째 실험이었다. 초창기 핵산 백신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보는 거죠. 위상수학 관점에서 도넛과 머그컵은 같은 위상인 도형입니다. 도넛과 머그컵 모두 잘 다듬으면 구멍이 하나인 원환면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위상수학은 비교적 최근에 생긴 현대 수학입니다. 연구 초기였던 19세기 말에는 모든 곡면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