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해"(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반죽에 골고루 섞여 들어가 단백질 사이사이에 이황화결합(S-S)이 형성되지 못하도록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외부 열을 만나 구워지는 동안 수분이 날아가 바삭해지거나, 수분을 머금어 촉촉한 속살이 됩니다. 아무리 크루아상이 맛있어도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통통했던 몸집은 폭삭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입은 사람의 체력이 쉽게 떨어졌어요. 또 뼈대가 너무 딱딱해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데 방해가 되었지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좀 더 부드러우면서도 가벼운 로봇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답니다. ➊ 록히드마틴사가 개발한 헐크(Hulc)➋ 하버드대 코너 월시 교수가 개발한 소프트 로봇.➌ 뇌 연결 ...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분비하지요. 그 결과 밤에도 잠들기 어렵게 된답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에 방해가 될 수도 있어요. 성장호르몬은 근육량을 늘리고 뼈를 성장시키는데, 보통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숙면을 취해야 나온다고 알려져 있지요. 따라서 밝은 빛 때문에 수면 장애가 오면 성장호르몬이 잘 ... ...
- 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동물들은 밝은 불빛을 따라가다 포식자에게 쉽게 발견되기도 하고, 불빛이 번식을 방해해 개체수가 줄어들기도 해요. 또 식물들은 지나친 불빛 아래서 잘 자라지 못하거나 조명에서 나오는 열 때문에 손상을 입기도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 ...
- [과학뉴스] 빛 공해, 꽃가루 옮기는 데도 방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생활할 수 있어요. 하지만 밤에 밝은 불빛이 켜져 있으면 사람이 깊은 잠을 자는 데도 방해가 되고, 동물과 식물의 생활에도 피해를 줘요. 이처럼 인공 빛에 의한 피해를 ‘빛 공해’라고 해요. 최근 스위스 베른대학교 연구팀은 빛 공해가 곤충이 꽃가루나 식물의 씨앗을 옮기는 데도 나쁜 영향을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생각해냈어요. 동물들은 추운 겨울이 되면 포도당을 몸에 비축해요. 그럼 포도당의 방해로 체액 속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지 못해 어는점이 낮아지지요. 포도당이 몸이 얼지 않도록 동결방지제 역할을 한 거예요. 마찬가지로 냉동 인간을 만들 때 글리세롤이나 ●DMSO같은 동결방지제를 몸에 넣어요.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조류의 세기가 시속 4km만 돼도 모든 작업을 중단해야 할 만큼 물의 흐름이 공사를 방해한답니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장인성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은 “올해 9~10월까지는 포항에 있는 수조에서 시험을 진행하고, 그 뒤부터 수심 20~100m 정도의 실제 바다에 나가 시험해 볼 계획”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물이 몸의 곡선을 따라 흘러가며 물고기가 받는 물의 저항이 줄어들지요. 그럼 물의 방해를 덜 받아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답니다.물체가 받는 저항의 크기는 ‘항력 계수’라는 수치로 나타낼 수 있어요. 물고기 모양의 항력 계수가 0.04 정도인데 비해 자동차 모양의 항력 계수는 0.3~0.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을 막습니다(위 그림). 즉, 레프티는 오른쪽에 있는 세포들이 왼쪽정체성을 갖는 것을 방해합니다. 실제로 레프티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없애면 노들 단백질이 오른쪽 세포들에까지 영향을 미쳐 결국 오른쪽이 없이 왼쪽만 있는 배아로 발달합니다(doi:10.1016/S0092-8674(00)81472-5). 노들이라는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산화탄소 순환 측면에서 방해석은 고체로 변한 이산화탄소 덩어리다. 따라서 방해석의 생성과 용해 사이클에서 지구온난화 해결의 열쇠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