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형"(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결과, 세포막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골지체에 이상이 생기면 신경세포에도 구조적인 변형이 일어나면서 퇴행성 뇌질환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새로운 세포막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시냅스를 만들지 못해 신경세포가 사멸한다. 2017년 7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에 발표한 이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많이 나가는 유전자 변형 쥐와 정상 쥐의 장내미생물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유전자 변형 쥐에서 피르미쿠테스(firmicutes) 문 세균의 비율이 높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 문 세균의 비율이 매우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장내미생물이 인체 비만 유발 최초 확인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능하다는 뜻이다. 천 센터장은 “이보다 더 복잡한 분석도 결국 수학적인 연산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상태에서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쥐의 유전체에서 HOTAIR 유전자를 없앨 경우, 여섯 번째 요추(L6)가 첫 번째 천추(S1)로 변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아래 그림 1).doi: 10.1016/j.celrep.2013.09.003 이렇게 탄생한 돌연변이 쥐는 손목뼈도 정상과 달랐습니다. 돌연변이 중 절반(56%)이 손목뼈가 서로 붙었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앞서 언급한 아폴로니안 개스킷을 이용한 작품입니다. 아폴로니안 개스킷을 살짝 변형한 뒤, 여기에 강렬한 붉은 색을 입히자 기하학 도형이 화려한 작품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이처럼 수학을 다양한 분야로 응용하는 방법을 실용수학 교과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텔레비전 속 숫자 읽어주는 ... ...
- [인터뷰]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박창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같은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는 유형의 문제를 출제하며, 수학의 경우 기본 개념에 식의 변형을 이용하는 등 수학적으로 사고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한다”고 말했다. 최종합격자는 1단계 성적 40%에 2단계 성적 60%를 합산해 선정한다. 내신 성적부터 면접까지 수학, 과학을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길 부분이 뭉툭하게 솟아오릅니다. 이 부분을 팔다리싹 이라고 부릅니다.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해 쥐 배아의 팔다리 싹에서 Sox9 유전자를 제거하면 팔과 다리가 아예 자라지 못하게 됩니다(위 그림). 그런데 Sox9 유전자를 쥐의 피부세포에서 제거해도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언뜻 생각하면 ... ...
- [가상인터뷰]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알려지면서부터야.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 중 첫 관문인 ‘TrkA’란 단백질에 변형이 생겼기 때문이지. 또 우리는 몸속에서 세균의 침입이나 독성 물질의 침투를 막는 ‘히알루론산’이란 물질을 만들어. 덕분에 암이 발생하지 않아. 게다가 산소가 없어지더라도 18분까지 버틸 수 있어. 이 ... ...
- [수학공작실]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만드는 데 안성맞춤이었다.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하인츠 스트로블의 방법을 변형해 플렉스칼레이도 사이클을 풀칠 없이 만드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알렉세이 이브첸코는 “제 작품에 대한 관심에 감사하다”라고 메시지를 남겼다. 이제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을 만들어보자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지하철에 탄 사람들처럼요. 이런 세포들은 주변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Yap 단백질을 변형시킵니다. 그 결과 Yap 단백질이 핵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영양막 분화에 필요한 유전자도 발현되지 않습니다. 대신 내세포 집단으로 분화할 때 필요한 유전자가 발현됩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단백질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