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 노트]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방류해야 한다는 대전제가 붙습니다. 이것을 우리 눈으로 확인하기 전까진 그 어떤
분석
이 나와도 계속 불안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앞으로 계속 함께 살펴보시지요. 과학동아는 독자 여러분들의 답답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제2의, 제3의 팩트체크를 이어 ... ...
[과학뉴스]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가는 중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호수 수위가 증가한 지역은 사람이 적게 살거나 빙하가 녹으면서 수위가 상승했다고
분석
했다. 호수 생태계는 동식물에게는 물론이고, 식수와 농업용수를 얻고 수력발전을 하는 인류의 생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계 인구의 4명 중 한 명인 20억 명이 수량이 줄어든 호수 ... ...
[과학뉴스] 물고기의 특별한 GPS 세포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어류가 포유류와 다른 방식으로 위치를 감지하는 이유가 거주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
했다. 포유류가 서식하는 육상은 전후좌우가 중요한 2차원에 가깝지만, 어류가 살아가는 물 속은 위아래로도 움직일 수 있는 3차원 환경이다. 게다가 물살은 어류의 위치를 계속해서 바꾼다. 어류에게는 ... ...
팩트체크2. 정화결과를 검사하는 시료의 대표성이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대표성이 떨어지는 시료였다면
분석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방류가 시작되면 일본의
분석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데 이는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다 ... ...
팩트체크3. 일본의 오염수 방류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방류는 인류에 처음 있는 일이다.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연구가 없다.❸광부들의 방사선 노출 문제가 대두되자 ‘워킹 레벨 월’이라는 새로운 단위가 만들어졌다. 오염수 방류 시에도 그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단위가 필요하다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지역의 지구 반대편이 바다가 아닌 관측소가 있는 땅일 확률이 극히 낮다”며 “이번에
분석
한 알래스카주의 지진파는 지구 반대편인 남극에 관측소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 최심부 내핵은 언제쯤 교과서에 등장할까. 팜 연구원은 “최심부 내핵이 존재한다는 이론은 이미 200 ... ...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정밀 의료가 보편화되려면 수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 기반을 쌓기 위해 우리는 ‘하나의 작은 것, 세포에 집중한다’는 신념을 기업명에 ... 개발한 단일 세포
분석
기술이 암 환자의 항암제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세포
분석
비용이 낮아지면 정밀 의료 서비스도 보편화되겠죠 ... ...
팩트체크4. 일본이 방출한다는 삼중수소 양, 문제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남해와 서해로도 확산됐다. 오염수가 제주도까지 오는 데에는 4~5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분석
됐다. 제주도에 유입될 것으로 추정되는 삼중수소 양은 1m3당 0.001Bq이었다. 우리 바다에는 과거 핵실험 결과로 만들어진 삼중수소와 원자력발전소 운용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삼중수소, 자연적으로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산림병해충연구과 임업연구사는 “1980년대부터 2020년까지 연도별 돌발해충 발생 종 수를
분석
해 보니, 연 평균 기온이 올라가면서 돌발해충 발생 종 수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했다. 사람이 곤충의 영역을 침범하면서 그 현상을 더 많이 볼 수 있게 됐을 뿐, 대발생은 원래 종종 ...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시기에 비가 얼마만큼 왔는지 알 수 있다. 연구단은 석순이 함유한 산소와 수소를
분석
해 석순을 만들었던 강수의 동위원소 조성도 확인하고 있다. 연구시설을 하나씩 둘러보는 정재욱 독자(경북대 1학년)의 눈이 빛났다. 그는 2년 전 과학동아를 읽고 IBS 기후물리 연구단이 진행하는 ‘K-WIN(Korea-Water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