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d라이브러리
"
비정상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보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문제는 제한효소에 잘리는 조사 대상 유전자 조각이 정상과
비정상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황 교수는 “조사에 의하면 현재 시행되는 검사들 중에는 RFLP 방법으로 차이를 볼 수 없는 유전자들이 있다”며 “이들이 어떤 방법으로 검사되는지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중추신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어나는 혼수 혼수상태에서는 혈당값(血精値)이
비정상
적으로 높아지고, 오줌에 아세톤 · 아세트산 등 지방대사의 중간산물이 배설되며 혈액의 pH는 산성이 된다 용질 1g 당량을 함유하는 용액의 부피와, 그 용액의 고유 전기전도도의 곱 줄여서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989년 ‘일반정신의학기록’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병적도박이 노르아드레날린이
비정상
적으로 분비되는 것과 관계가 있다.완치는 어렵지만 방치는 금물한편 인간의 뇌에는 쾌락과 충동을 조절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뇌보상체계’(brain reward system, 변연계의 일부분)라고 한다.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용한다. 따라서 잠수 상태에서 체내 공기의 주된 성분은 질소가 된다. 질소가 체액에
비정상
적으로 많이 녹아 있게 되면 마취 현상이 나타난다. 즉 술에 취한 듯 황홀해지고 자기 통제가 불가능한 혼수상태에 빠지며, 심한 경우 의식을 잃는다. 이런 현상이 ‘질소 중독’으로, 잠수병의 한가지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뇌의 감정과 본능을 담당하는 기능은 억눌려 메말라간다. 최근 늘어나는 청소년 비행도
비정상
적인 통로를 통해 뇌가 감정적 충족감을 얻기 위해서일 수 있다는 뜻이다.태어날 때 3백50g에 불과하던 뇌는 1년이 지나면 1천g에 도달할 정도로 전체적으로 급성장한다. 이후 3세가 될 때까지 고도의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부인과 질병을 통틀어 이른 말이었으나, 일반적으로는 여성의 성기에서 분비물이
비정상
적으로 많이 나와 외음부를 적시는 병적인 경우를 뜻한다가시광선영역 일반 흑백영상센서가 수집한 전자기복사에너지를 파장대별로 나눠 표현 대표적인 경우가 적녹청 3광원색12율려의 9번째 율 진동수가 8백39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또 초저밀도지단백질은 T는 높고 C는 보통이다 고지혈증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LDL이
비정상
적으로 많아진 경우가 가장 흔하다 즉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보통인 반면 콜레스테롤치가 대단히 높은 상태를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건강을 위해서는 LDL보다는 HDL의 증가가 유리하다감각 지각능력에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위원으로 활동한 권혁찬 원장(봄여성병원)은 복제 수정란에서 메틸기가
비정상
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점, 그리고 텔로미어를 만드는 효소가 정상인 경우에 비해 잘 발현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는 “이런 사실들은 복제된 수정란이 이미 어느 정도 노화가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는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유전자가 아예 발현되지 않거나(11.3%) 내부세포덩어리 외에 다른 부분에서도 발현되는
비정상
적인 형태(54.7%)를 보였다. 정상적으로 유전자가 발현돼도 일반적인 수정란에 비해서는 발현율이 낮았다. 연구진은 결국 복제된 쥐의 배아 중 Oct-4 유전자가 계속된 발생과정을 감당할 만큼 제대로 발현된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세포가 분열하면서 길이가 점점 줄어든다. 즉 나이가 든 개체를 복제하면, 텔로미어가
비정상
적으로 짧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6살 어미의 체세포로부터 복제한 돌리의 실제 나이는 6살을 더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이에 대해 황우석 교수는 “복제동물을 조사하면 텔로미어가 반드시 짧아지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