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선
온정
호의
친절
d라이브러리
"
선의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용하여 초소형의 전지와 소형 발전기를 만들 수 있으며 ${ }^{238}$Pu로 부터 γ선이나 X
선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특별한 방사선 차폐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0.1~1㎽의 최소형 전지는 인공심장을 박동시키는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5백W의 소형 발전기는 우주선 내부의 전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뻬랭(J. Perrin)은 이 음극선이 음전하를 나르는 것을 보았고 1897년 톰슨(J. J. Thompson)은 음극
선의
속도를 측정했다. 이로부터 질량과 전하의 비를 추정하여 이 입자의 질량이 수소원자 질량의 1/1000보다 작음을 증명했다.그러나 그 당시에는 원자보다 작은 어떠한 것도 발견되지 않았던 터이라 이 ... ...
복제방지장치 개발자가 불법복제 앞장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붙였고 이는 더이상 "불법 복제로 인해 프로그램 개발업체가 개발비도 못건지고
선의
의 정품 사용자가 피해를 보는 사태는 없게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됐다.그런데 이로부터 한달여가 지난 9월초 하이텔 PC서브 등 통신망의 게시판에는 한글2.0 록장치가 풀려 이것을 10만원에 판매한다는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그러한 물질 섭동들이 초기 우주에 인플레이션을 통해 만들어졌다 하면 우주배경복사
선의
온도 차이가 펜지아스와 윌슨의 안테나와 같은 장비를 통해 관측될 수 있어야만 한다. 실제로 우주 복사선 내에서 이들을 찾으려는 노력은 벌써 지난 30년 세월에 걸쳐 미국과 유럽 연구진들에 의해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설명하는 데는 '물음표의 공란'으로 남아 있었다. 그런데 코비가 우주배경복사
선의
등방성을 깨뜨리는 은하 형성의 원인을 찾아낸 것. 미국 버클리 대학의 조지 스무트 박사는 코비의 관측자료로부터 평균 온도에서 10만분의 6정도의 온도변화를 찾아냈다고 밝혔다.아무튼 코비는 우주배경복사가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잠수정 소리)이 있다는 사실을 노지카의 음향효과로 보여주었다.또한 음향효과는 관람동
선의
관리에도 이용되는데 방문객의 발걸음이 각 전시특성에 따른 음향효과에 따라 빨라지거나 늦어진다. 음향효과는 각종 전시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노지카에서 사람들은 해저의 진기하고 풍부한 음의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질적인 비약이 필요하다. 우선 비행
선의
고도를 대폭 상승시켜야 한다. 현재 무인비행
선의
고도는 대략 2~3km. EXPO를 계기로 만들어질 비행선도 고도 3km까지를 활동영역으로 잡고 있다. 물론 EXPO 기간 중에는 1~1.5km에서 부여받은 임무를 수행한다.대류권(보통 지상 12km까지)은 지표면과의 열교환이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지역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같은' 우주지평선 이내의 지역에서 발생된 우주배경복사
선의
온도가 방향에 상관없이 거의 같은 온도를 지닌다는 것은 하나도 이상할게 없다. 이로써 우주지평선 문제도 해결된다.마지막으로 상전이를 통해 발생된 자기 단극자는 주어진 우주지평선 이내에 한개가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사실인즉 콤프턴천문대에서 나온 최근 자료에 따르면 우리 은하계 밖에서 발생한 강한 X
선의
폭발은 어쩌면 뭉게지고 납작해지고 열이 가해지고 삼켜지면서 최후를 맞으며 X선을 뿜어내는 별들에 그 원인이 있는지 모른다.최근엔 우주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에 관한 많은 기사들이 쓰여졌다.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주변에 있는 물질들이 검은 구멍으로 떨어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X
선의
경우에는 지구대기에 가려 관측할 수 없으나 최근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관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1970년대초에 우루(Uhuru), 1978~1981년에 아인슈타인 1980년대 말에 깅가(Ginga) 등의 X선 인공위성이 활용된 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