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 입] 기호의 등장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전에도 ‘는 있었는데, 이전까지는 뺄셈을 뜻했지. = 등호는 곱셈과 나눗셈보다 약 100년 정도 앞선 1557년에 영국의 수학자 로버트 레코드가 발명했어. 똑같이 생긴 평행선★ 두 개를 그었다고 해서 ‘쌍둥이 선’이라고 불렀다고 해. 그도 그럴 것이, 등호는 ‘같다’라는 뜻이잖아. 이 기호에 ... ...
- [과학뉴스] 지구 생물 절반 이상이 토양에 산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생애주기의 일부를 완료했다면 토양에 사는 종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지구 생물의 약 59%가 토양 생태계에서 살고 있다는 추정치가 나왔다. 이 수치는 2006년 데캉 티보 프랑스 몽펠리에대 교수가 진행한 토양 생태계 다양성 측정 연구에서 추정한 수치인 25%의 두 배에 달한다. 균류의 90%, 식물의 85 ... ...
- [제로슈거] 어떻게 0 칼로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후, 장 세포가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하지 못하도록 했더니 설탕을 선택하는 쥐의 수가 약 60%로 줄었지요. 이는 쥐가 설탕을 선호하며, 장에서 보낸 글루타메이트 신경 전달 물질로 설탕을 구별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보호르케스 교수는 “쥐가 영양분이 더 많은 설탕을 감미료보다 더 좋아하는 ... ...
- [JOB터뷰] 국내 최초 꿀벌 수의사, 정년기 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역시 꿀이라는 점을 기억했으면 좋겠어요. 꿀벌이 꿀을 제대로 먹지 못하면 면역력이 약해져 질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지요. 꿀벌에게 충분한 꿀을 주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Q. 꿀벌 수의사는 어떻게 되나요? 꿀벌 수의사가 되려면, 꿀벌에 쏘여도 괜찮은 체질인지 먼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 [출동, 슈퍼 M] 음료수 캔은 왜 모두 원기둥 모양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충격을 받아도 음료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답니다. 둘째. 잡기 편하다! 만약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 모양의 캔이 있다면 어떨까요? 삼각기둥은 밑면이 삼각형이고 옆면은 직사각형인 입체도형, 사각기둥은 밑면은 사각형, 옆면은 직사각형인 입체도형이에요. 두 도형 모두 옆면이 각져 있어서 ...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사실 IMO 2023을 위해 한국인 12명이 물밑에서 구슬땀을 흘렸습니다. IMO 문제선정위원인 김동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박사과정생과 코디네이션 부팀장 박성진 미 ... 코디네이터는 “일부 대표단이 학생들의 답안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약간 씁쓸했다”고 말했어요 ... ...
- [포토뉴스] 새쫓는 가시덤불로 둥지 만든 ' 까치의 반항'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스파이크를 뜯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둥지에서 버드 스파이크 꼬챙이가 약 1500개 발견됐으며, 인근 병원 옥상에 붙어있던 버드 스파이크는 사라진 상태였다고 보고했다. 까치는 둥지 위에 가시가 많은 나뭇가지로 돔형 지붕을 얹어 다른 새로부터 알을 보호하는 습성이 있다. 그런데 ... ...
- [과학뉴스]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 온실가스 메테인을 제거한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20년 동안 약 83배 더 강력한 온실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만약 그동안 바다 위로 불어온 사막 먼지가 메테인을 제거해 오고 있었다면, 기존에 알려진 메테인 배출량 및 배출 증가량 또한 수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지구가 자연적 화학 반응으로 줄여오던 메테인 양을 고려하지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가장 먼 은하가 발견됐다. ‘메이시의 은하’라는 이름이 붙은 이 은하는 지금으로부터 약 134억 년 전, 빅뱅 이후 우주의 나이가 겨우 3억 9000만 년 밖에 되지 않았을 때의 우주 끝자락에 놓여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임스 웹은 허블로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던 자리에서 4.4μm(마이크로미터・100만 ... ...
-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프로게이머들의 블레이즈포드 반응 속도는 약 0.15초다. 그에 반해 기자의 반응 속도는 약 0.25초. 난이도를 높여 손을 교차해 불켜진 블레이즈포드 중 특정 색만 누르는 훈련에선 반응 속도가 0.4초로 더 느려졌다. 쩔쩔매는 기자를 바라보던 장 연구원은 미소를 띠며 “국가대표들에게는 너무 쉬운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