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글"(으)로 총 1,281건 검색되었습니다.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천사의 머리카락을 본 사람 있나요? 아니면 셀 수 없이 많은 거미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건요? 지금 수백 마리의 작은 거미들이 우리집 주변에 둥둥 떠 있어요. 누가 과학자 좀 불러 줘요!”지난 5월 4일 자신의 집이 거미줄로 뒤덮인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이안 왓슨이 호주 골번 지역의 페이스북 ...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박쥐 몸 안에는 수많은 바이러스가 산다. 현재까지 발견된 것만 200종이 넘는다. 그 중에는 에볼라, 메르스, 사스, 한타, 광견병 바이러스 등 인간이 걸리면 죽을 수 있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도 있다. 하지만 박쥐는 이런 바이러스에 감염되고도 멀쩡히 살아 있다. 낙타와 사람은 메르스 사망률이 천지 ...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 , , 의 공통점은? 바로 드림웍스가 제작한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드림웍스에서는 시나리오를 쓸 때 ‘드라마티카 프로’라는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한다.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드라마티카 프로는 영화, ...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2세기 말 경, 중국의 위(魏)•촉(蜀)•오(吳) 3국은 자신들의 세력을 넓히기 위해 전쟁이 한창이었다. 이를 역사로 기록한 것이 그 유명한 ‘삼국지’다.그로부터 1800년 가량이 흐른 2015년, 그 때보다 더 치열한 전쟁이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었으니, 바로 입시다. 매년 수십만 명의 수험생이 대학 ...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투수의 손을 떠난 야구공을 상상해보자. 이 공이 움직일 궤적을 그릴 때는 투수가 미트를 향해 직선으로 던진 힘 외에도 공을 지표면으로 끌어 당기는 중력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투수의 손을 떠난 공은 앞으로 나아가며 떨어지는 포물선을 그릴 것이다. 그런데 실제 야구 선수들이 던진 공의 궤 ...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프랑스에 파브르 곤충기가 있다면, 한국에는 정부희 곤충기가 있다.’ 정부희 고려대 한국곤충연구소 박사가 버릇처럼 하는 이야기다. 그녀는 2010년 ‘곤충의 밥상’을 시작으로 매년 곤충기를 펴내고 있다. 현재 5권까지 나왔다. 파브르가 곤충기를 집필한 것보다 두 배는 빠른 속도다. 심지어 수 ...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마치 축포 같았다. 인류 진화를 다룬 새 책 ‘인류의 기원’이 인쇄에 들어간 날, 외신들이 일제히 새로운 초기 호모 속 인류 화석 발견을 요란하게 보도했다. 인류학 역사에서도 몇 번 안 되는 큰 발굴이었고, 내용도 충격적이었다(70쪽 기획 참조. 이 발굴 내용은 이후 연구에 따라 차차 재평가될 것 ...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2 가난한 농부의 맏아들. 한평생 나를 옭아맨 운명이었다. 내가 태어나기 직전 나폴레옹이 유배지에서 죽었다고 한다. 왕당파 귀족들과 성직자들은 혁명기에 빼앗겼던 특권을 되찾았다. 그런 시절이었다. 농촌이든 도시든 평민은 모두 찢어지게 가난하고 비참했다. 난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다 ...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최근 ‘수포자(수학 포기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9월 중 확정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놓고 수학 학습량을 대폭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찮다. 쉽게 조금만 가르치는 것으로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교육시 ...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면의 넓이나 입체의 부피 등을 구하는 적분은 미분이 발명되기 훨씬 이전인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미분과는 별개의 학문으로 발달했다. 그런데 17세기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학을 정립한 뒤, 적분은 결국 미분의 역연산과 같다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가 발표되면서 적분이 미분의 하위 개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