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집합 X의 수를 ak라 할 때, 수열 a0, a1, …이 로그-오목이라고 추측한 것입니다. 아울러 더 일반적으로 매트로이드에서도 같은 것이 성립한다고 추측했지요. 매트로이드에서 만들어낼 수 있는 수열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 추측도 매우 다양한 결과를 한꺼번에 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그래프가 ... ...
- [과학뉴스] 지도교수 몰래 표절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논문은 마감 기한이 촌각을 다투는데다 논문을 받아주는 쪽에서 표절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어서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김진형 전 인공지능연구원장 겸 카이스트 석좌교수는 “연구가 아닌 논문이 목표라는 걸 시인한 셈”이라며 “논문 개수를 세거나 SCI급 논문 유무를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연구자들이 덕후에게 개미 채집을 부탁하는 등 일반인과 함께 연구하는 경우도 많죠. 숲곰개미 님이 직접 찍은 사진이 연구자의 논문에 활용된 적도 있습니다. 그는 “부전나비라고 해서 개미집에서 유충생활을 하는 나비가 있다”며 “이 나비가 숙주로 이용하는 ...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만난 수학자인 카림 아디프라지토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도 함께 일반적인 로타의 추측을 풀었습니다. Q. 공동연구를 많이 하시나요? A. 그럼요. 제가 최근에 쓴 논문은 모두 공동연구의 결과물이에요. 제 모든 연구 결과들은 뛰어난 동료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어요. 어떤 때는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6q2 - 3q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이 3가지일 때를 두 가지 경우로 나눠 구했는데, 이를 일반화 하면 ‘제거-축약 공식’을 얻습니다. 임의의 변 e를 고르고, e의 두 꼭짓점을 v1, v2라고 합시다. 변 e를 제거한 그래프를 G1이라 하고, 다시 G1에서 꼭짓점 v1과 v2를 겹쳐 얻는 그래프를 G2라고 합시다. ...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대규모 수학 공동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활용하기로 마음먹었어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큰 장애물을 혼자 또는 주변의 몇몇 수학자와 극복해야 하는데, 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선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기 때문에 큰 장애물을 조금씩 넘는 방법이 쏟아져 나오거든요. 그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결심했습니다. 특히 확률론에 확 끌렸어요. 장 프랑수아 르 갈 파리사클레이대 교수의 ‘일반 확률’ 수업과 2006 필즈상 수상자인 벤델린 베르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교수의 ‘통계 물리학’ 수업이 그 계기였지요. “어떤 물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려면 이 물체의 움직임을 수식으로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상태였어요. 그런데 다행히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저를 받아줬지요. Q. 박사과정 중에 일반화한 쇤플리스 추측을 해결하시고, 만 25세라는 젊은 나이에 하버드대 교수가 되셨어요. 혹시 교수님은 본인이 노력파와 타고난 천재 중 어느 유형이라고 생각하는지요? ‘천재’라는 말을 쓰는 대신에, ... ...
- [공동기획] 미래 연구자를 키운다! 과학영재 창의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육 모형으로 도입됐습니다. 현재는 영재학교나 과학고등학교는 물론 과학중점학교, 일반계 고등학교로 점차 확산되고 있어요. R&E는 전문가, 지도 교사, 학생이 한 팀을 이뤄 진행합니다. 이때 전문가는 대학 교수나 연구원이 맡으며, 학생들의 연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해요. 대개 1년 또는 한 학기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계수도 로그-오목 성질을 가진다. 1971년 미국의 수학자 잔카를로 로타가 리드 추측을 일반화해 제시한 문제다. 허준이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호지 이론’을 통해 로타 추측을 증명했다. ※오목로그란.로그-오목은 계수에 로그를 씌웠을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오목한 형태를 보이는 성질을 뜻한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