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기"(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약들이다. 한 예로 2월 5일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한 2번 환자 등 코로나19 발생 초기 환자들에게 사용된 치료제는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 치료제인 ‘칼레트라(Kaletra)’였다. 로피나비르(lopinavir)와 리토나비르(ritonavir)를 주성분으로 하는 칼레트라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역사책’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간 허블우주망원경은 우주에서 희귀한 천체를 찾거나, 초기 우주에 생성된 은하를 포착했다. 이런 결과는 에드윈 허블의 팽창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됐다. 팽창 우주론은 우주가 약 138억 년 전 대폭발, 즉 빅뱅(Big Bang)을 일으켰고 이후 지금까지 계속 팽창하고 ...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보통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생명의 진화는 일종의 방향성을 띤다고 여겨졌다. 초기 생명체가 물에서 육지로 올라와 포유류가 된 것처럼 말이다. 여기서 고래는 대표적인 예외 사례로 꼽혔다. 포유류가 육지에서 다시 물로 돌아간 ‘역진화’가 일어난 동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역진화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덧붙였다. LG화학은 세계적인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LG그룹의 핵심 계열사다. 설립 초기 치약과 비누를 생산했던 LG화학은 현재 석유화학 기초제품, 의약품과 전자제품 소재뿐만 아니라 전기차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현재 이곳 기술연구원에 근무하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모양으로 생겼는데, 이 두 천체가 어떤 과정으로 결합했는지 알아내면 태양계 행성의 초기 형성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는 작은 행성들이 고속으로 충돌해 행성이 만들어졌다는 ‘고속 충돌설’이 우세합니다. 아로코스가 이 판도를 뒤집었을까요? 점묘법의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모든 소천체를 지칭한다.* 카이퍼 벨트 태양에서 45억~70억km 떨어진 지역. 태양계 형성 초기에 행성이 되지 못한 채 남은 다양한 크기의 암석이나 얼음 소행성 무리가 있다.* 야르콥스키 효과 (Yarkovsky-O’Keefe-Radzievskii-Paddack effect) 이반 야르콥스키 등 네 명의 과학자가 만든 소행성의 운동을 기술하는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슈퍼컴퓨터로 디자인해 살아있는 로봇 ‘제노봇(Xenobots)’을 만들었어요. 배아 초기 단계의 줄기세포는 어떤 조직으로든 분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그래서 연구팀은 아프리카발톱개구리의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떼어낸 뒤, 피부세포와 심장근육세포로 분화시켜 약 1mm 크기의 로봇을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집채만 했던 컴퓨터가 손바닥 크기로! 1946년 미국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만든 초기 컴퓨터 에니악(ENIAC)은 길이 25m, 높이 2.5m로 그야말로 어마어마해요. 전자의 운동을 조절해 신호를 증폭하거나 바꾸는 진공관 1만 8000여 개가 쓰였기 때문이지요. 이처럼 거대했던 컴퓨터가 작아질 수 있었던 건 ... ...
- 우리은하는 몇 개의 왜소은하가 뭉쳐 만들어졌을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인디언자리에 위치했던 왜소은하 ‘가이아-엔켈라두스(Gaia-Enceladus)’가 우주 탄생 초기인 132억~116억 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50-019-0975-9 연구팀은 2018년 4월 발사된 ‘천체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TESS·테스)’의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작동할지, 추진기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험을 반복해야 했다. 개발 초기에는 지상연소시험을 7회 정도로 예상했다. 초반 3회 시험에서 비행용 고체엔진 설계를 확정하고, 이후 비행용 인증시험을 2회 정도 거친 뒤, 실제 비행환경에서의 최종적인 성능을 검증하는 고고도 시험을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