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테"(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숨겨진 유적을 찾는 건 누워서 떡먹기일 것 같군. 어? 인공위성이 발견하지 못하는 유적도 있다고? 그럼 그럴 땐 어떻게 하지? 레이저로 밀림 속 유적을 발견한다?!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등의 밀림은 수많은 나무가 빽빽하게 땅을 가리고 있어요. 그래서 위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곱해 만든 합성수입니다. 이 두 소수가 소수인지 모르면 이 소수로 나눌 생각조차 못할 테니 소인수분해는 물 건너간 겁니다! 현대 수학의 끝판왕, 소수수학이 ‘수’를 탐구하는 학문인 만큼 수의 재료인 소수는 무척 중요한 개념입니다. 음식에 들어간 재료를 보면 맛을 대충 짐작할 수 있는 ... ...
- Intro. 잃어버린 도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친구들 안녕! 나는 모험을 즐기는 고고학자 ‘인디아나 존스’라고 해. 잃어버린 문명을 찾는 탐사가 있다기에 삽과 쌍안경을 들고 냉큼 달려왔지. 그런데 저 안경 쓴 사람은 대체 뭐지? 인공위성에, 로봇에, 레이더 장치까지…. 고고학자라더니 온갖 첨단 과학 기기는 다 들고 왔네? 고고학자 맞아 ... ...
- Part 1. 인공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최첨단 장비를 갖고 있던 고고학자는 갑자기 노트북으로 영상을 분석하더니 이쯤에 유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어. 대체 어떻게 아는 거지? 노트북으로 보는 건…, 인공위성 사진? 위성사진으로 고대 유적을 찾는다!지난 해 10월, 서호주대학교 데이비드 케네디 교수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화산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무리수 개념이 없던 기원전 6세기에 생각지 못했겠지요. 지금처럼 다양한 악기도 없었을 테고요. 그렇다고 피타고라의 순정율이 의미 없는 건 아닙니다. 현대 서양 음계와 본질적으로 같으며, 순정율로 화음을 구성하면 실제로 훨씬 더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음높이를 자유롭게 바꿀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것. (기자 : 왠지 첫 번째였을 것 같다) 틀렸다. 늘 세 번째였다. 연구를 해보니 누구한테 물어봐야할지 아는 게 정말 중요한 능력이더라. 지식의 범위가 워낙 넓어서 혼자서는 도저히 할 수 없으니까. 지금도 다른 사람들에게 많이 물어본다.다른 사람의 연구까지 관심 두기가 쉽지 않은데?트위터를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위한 가장 중요한 열쇠는 시간여행이다. 누구나 한 번쯤 시간을 되돌리는 상상을 해봤을 테지만, 그게 정말 이뤄질 수 있는 일일까? BU에서는 석진이 어떤 방법을 쓰는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실제 세계에서 시간여행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방법은 수학이다. 2017년, 벤자민 티펫 캐나다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동차 충돌 시뮬레이션, 건축 설계 시 지진이나 태풍, 해일에 견디는 정도를 테스트하는 시뮬레이션 등 실제와 비슷한 환경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게임과 마찬가지로 실제와 비슷하게 구현한 가상 공간을 즐기는 것이 목적인 만큼 알고리즘을 간소화할 수 있다. 반면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덜덜덜덜~ 덜덜덜덜, 치익~.프린터 노즐 두 개가 왔다갔다 움직이기를 수차례 반복했다. 사무실에서 매일 듣던 익숙한 프린터 기계 음인데, 이날따라 이 ... 미세조류에서 뽑은 단백질과 지방으로 표면의 거칠기를 다르게 인쇄해 치킨 너겟과 스테이크 식감을 흉내내는 데 성공한 바 있다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벨로시랩터와 알로사우루스 등 육식공룡의 이빨화석은 대부분 칼 모양으로 뒷날에는 스테이크 칼처럼 톱날이 달려 있다. 특히 티라노사우루스는 이빨이 납작하지 않고 두꺼워 먹잇감을 뼈째 씹어 먹었다. 이미 발굴된 똥화석에 잘게 부서진 뼛조각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반면 초식공룡의 이빨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