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14화. 함께라면 문제없지, 해롱호 대원들 임무 완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두 사람은 서로 “내가 맞다”며 티격태격하기 시작했습니다. 용용과 프로보도 루띠의 편을 들었습니다. “맞다! 실수로 우리에게 왔을 확률이 100%다!”하지만 딱지는 멋지게 임무를 완수한 성취감을 느끼며, 실수든 아니든 앞으로 이런 임무가 더 많이 생기기를 바랐습니다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블루스타즈가 6월 16일 찍은 태양입니다. 태양의 왼쪽 편에 흑점이 보이나요? 흑점은 태양 표면에서 자기 활동이 강한 곳이에요.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죠. 태양 활동이 활발할수록 흑점이 많습니다. 과학자들은 매일 달라지는 흑점의 모양과 숫자를 기록해 태양의 변화를 알아보고 있죠 ... ...
- [수학 잘하는 동물친구들] 거미줄로 뚝딱뚝딱, 집짓기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날려서 반대편 나무에 달라붙게 해요. 거미줄은 무척 가벼운 데다 끈적끈적해서 반대편 나무에 붙을 수 있어요. 이 첫 번째 거미줄을 ‘다리실’이라고 해요. 거미는 다리실을 여러 번 오가면서 더 튼튼하게 만들어요. 그 다음 다리실의 양 끝에서 아래쪽으로 ‘Y’자 모양이 되도록 또 다른 거미줄을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논쟁은 누가 미적분 발명의 우선권을 가지느냐는 논쟁으로, 다시 유럽 수학자들 사이의 편 가르기 싸움으로 커졌어요. 라이프니츠는 이 싸움의 끝을 보지 못하고 1716년 숨을 거뒀지요.승자는 누구였을까요? 뉴턴, 라이프니츠와 다른 수학자들이 남긴 자료를 검토한 결과, 현재는 라이프니츠와 뉴턴 ... ...
- [기획] 나는 건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곡선과 비교해 봐야 해요. 곡선 아래에 있으면 체격이 마른 편이고, 위에 있으면 큰 편이에요. 체질량지수 15 백분위 수 미만을 저체중, 85이상을 과체중, 95이상을 비만으로 구분합니다.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안문배 교수는 “저체중과 과체중, 비만 모두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꼭 필요하죠. 이런 공공기관은 어디에 짓는 게 좋을까요? 어디에 살든 누구나 찾아가기 편리한 곳이라면 좋겠죠. 이럴 때 보노로이 다이어그램의 특징을 이용하면 도움이 돼요. 다각형 모양을 하나의 동네라고 생각하면, 다각형 안에 있는 점의 위치에 공공기관을 짓는 거죠. 그러면 어느 한쪽에만 ... ...
- [만화 뉴스] 미생물을 알면 도시가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5월 26일, 전 세계 미생물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국제단체 ‘메타서브 컨소시엄’은 미생물 비율로 출신 도시를 알 수 있다고 밝혔어요. 메타서브 연구팀은 지난 3년 동안 서울 ...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이 많고, 호주에서는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이 적은 편이었답니다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개발해온 열분해 오일화 기술은 대부분 소규모로 진행된 데다 기술 수준도 매우 낮은 편이었다”며 “이번 개발로 그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박재진3번의 시도 끝에 만든 다빈치의 다리에 어과동 책 9권을 올렸어요!만들고 나니 뿌듯했지요. (마지막에 ... ...
- [에디터노트] 2021 결산 어워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종이접기의 물리학’도 생각났는데, 너무 정신 없이 써서 매운맛 기사였어. ㅋㅋㅋ편 앗, 힘들었다니 뭔가 미안함….(…그리고 아무도 말이 없었다….)편 (재촉) 기억에 남는 기사?조혜인 기자 4월호 특집 ‘손 안의 식물학, 가드닝’.편 혜인 기자 신나서 쓰던 기억이 나네. (내년엔 식물 연재로 ... ...
- [과학뉴스] 과학동아 결산, 2021년 과학기술 이슈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과학자였다. 세 번째는 ‘윤리’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삶을 편하게 만드는 한편 새로운 윤리적 고민거리를 던져줬다. 지난 1월 대화형 인공지능(AI) ‘이루다’는 혐오표현 및 개인정보 유출 논란 등의 문제로 출시 20일 만에 서비스가 중단됐다. 7월에는 세계 첫 인공수정란이 합성돼 이를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