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
편리
d라이브러리
"
편이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미소영역의 동적 물체에 레이저광을 비추어 이들 빛의 산란광에서 생기는 도플러주파수
편이
를 조사하여 그 운동속도를 구할 수 있는 현미경 동위원소이동을 이용하여 특정 동위원소를 그 스펙트럼선에 동조한 레이저광으로써 선택적으로 들뜨게 하고, 이어 해리·반응 또는 이온화하여 동위원소를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 내용을 담은 논문은 ‘피지컬 리뷰 레터스’ 3월 28일자에 실렸고, 후속 논문 한
편이
1주일 뒤인 4월 9일 연달아 실렸다. 이 연구 결과는 2005년 염 단장이 세웠던 당시 최소 선폭이었던 2nm 기록을 스스로 갈아치우는 성과였다.염 단장은 ‘원자선을 이용한 컴퓨터가 언제쯤 등장할 것 같나’하는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사용한 소나무의 인화점은 253℃이다. 소나무의 인화점은 다른 나무에 비해 낮은
편이
기 때문에 불이 붙기 더 쉽다. 숭례문에는 인화점을 2~3배 높여 주는 방염제까지 발라 두었지만 불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이렇게 시작된 불은 주변의 나무 구조물을 태우면서 점점 커졌다. 목재 건물의 화재가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노출을 해도 하늘이 노랗게 나온다. 따라서 되도록 시골처럼 깜깜한 곳에서 사진을 찍는
편이
좋다.ISS가 하늘에 나타나기 전에 구도와 노출시간을 미리 정한다. 감도(ISO)는 400, 조리개(f)는 4, 화이트 밸런스(WB)는 태양광 모드로 설정한 뒤 약 30초 정도로 노출하면 ISS가 지나가며 길게 남긴 궤적을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 있다는 장점을 주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될 수 있으면 두 눈의 시력을 유지하는
편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보비의 한쪽 눈을 꿰맨 일은 오히려 보비를 위해서였다.말초신경은 크게 뇌에서 직접 나오는 뇌신경과 척수에서 나오는 척수신경으로 나뉜다. 우리 몸의 뇌신경은 총 1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찍기 위해서는 사진 속의 별이 실제 밤하늘에서처럼 점의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는
편이
좋다. 이런 천체사진을 ‘점상 사진’이라고 한다.점상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노출 시간에 신경을 써야 한다. 노출을 오래 주면 별이 서쪽으로 움직여 별빛이 점의 형태가 아니라 궤적으로 남는다.따라서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진 사람이 성전환수술을 원할 때는 수술보다는 일차적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편이
좋다. 사회적, 윤리적, 종교적 문제도 있거니와 한 번의 수술이 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정신과 치료로 잘못된 성 주체성이 바뀔 수도 있고, 수술 후 신체 변화로 인해 겪을 수 있는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주고 싶어서였다. 고 교수는 해양과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곰처럼 단순하고 우직한
편이
좋다고 조언한다. 뜨거운 태양, 거센 파도와 싸우고 히드라와 해파리의 독도 이겨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해양생물을 ‘횟감’이 아닌 연구대상으로 진지하게 관찰하는 여성 특유의 섬세함이 더해진다면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서양보다 덜 조리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점이나 라면공장 같은 산업체로 눈을 돌리는
편이
좋다. 또 추운 겨울철에는 폐식용유가 응고되기 쉬우므로 적절한 수거 장비를 개발하는 일도 시급하다. 폐식용유를 자원으로 만드는 기술은 있지만 원활하게 재활용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더럽고 ... ...
최초의 박쥐는 레이더 없이 날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동물이 곤충을 잡으려다가 날개근육이 발달했다는 주장과 하늘을 날면서 초음파를 내는
편이
가만히 앉아서 내는 것보다 에너지가 훨씬 적게 든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섰던 것. 지금까지 발견된 박쥐 화석에는 날개와 초음파 발생 기관이 함께 있어 답을 주지 못했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