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사진"(으)로 총 1,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특성화중학교. 생소하다. 실제 있는 중학교는 아니다. 이 중학교는 상상 속의 학교다. 이름만 봐서는 학교 여기저기서 수학이 튀어나올 것만 같은데…. 제1회 신입생으로 입학한 주인공 ‘노을’과 친구들이 비밀조직 ‘제로’를 만나면서 겪는 모험 이야기가 펼쳐진다.오늘은 수학특성화중학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적이 살의를 품고 있다는 건 총탄의 궤적으로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탄환들은 방금 전까지 윤환의 머리가 머무르던 곳을 관통했다. 윤환은 벽 뒤에 몸을 숨기고 총의 배터리와 잔탄 수를 확인하면서 한숨을 쉬었다. 수동으로 명중률을 높이려면 반드시 호흡을 조절해야 했다. 그는 그 사실을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더 신기한 ‘더블 이클립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9월 1일 ‘더블 이클립스(double eclipse)’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더블 이클립스는 지구와 달이 태양을 동시에 가리는 현상으로, 지구가 태양활동관측위성의 시야를 가리며 지나가는 동안 달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매우 드문 이벤트다. 촬영한 사진과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편집자 주7월 13일, 두 명의 이스라엘 출신 노벨상 수상자가 한국에 왔다. 아다 요나트 박사(바이츠만연구소, 2009년 화학상)와 아론 치에하노베르(테크니온공대, 2004년 화학상) 교수다. 이들이 노벨상 업적을 낼 수 있었던 비결을 듣기 위해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50주년 기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퀴즈 하나. 아래 사진 속 동물 가운데 진짜 동물이 아닌 ‘로봇’이 있다. 무엇일까. 이제 첨단기술은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위해서도 활약하고 있다. 그 기발한 모습을 소개한다.그는 원래 박제사다. 죽은 동물의 배를 갈라 속을 빼내고 방부처리 해 세워 놓는 게 일이었다. 박제가 된 동물은 움직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13년, 역사상 세 번째로 달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로봇 ‘옥토끼(위투, 아래 사진)’가 972일 세계 최장 탐사 기록을 세우고 활동을 마쳤다. 중국 국가방위과학기술및산업부는 위투가 31개월간의 임무를 마치고 활동을 종료했다고 8월 3일 발표했다.위투는 탐사 기간 동안 7TB(테라바이트) 분량의 데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구리는 인류가 기원전 4200년 경부터 사용해 온 금속광물이다. 구리만으로 이뤄진 단일원소 광물이 자연계에 존재했기 때문에, 광석에서 원하는 광물만 추출하는 기술이 없었던 시대에도 널리 쓰였다. 또 회색빛을 띠는 일반 금속과 달리 구리는 붉은색을 띠기에 금처럼 쉽게 눈에 들어왔다. 기존 석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는 인간의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든다는 목표로세계적인 뇌과학 연구자들이 지난 2005년 출범시킨 공동 연구다.이번 여름휴가는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예전에 가봤던 곳을 잊지 못해 또 가보셨나요, 아니면 새로운 곳을 향해 떠나셨나요. 저는 이번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구의 밤하늘이 화려하게 물들었다. 8월 12일 밤 10시부터 13일 0시 30분까지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쏟아졌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스위프트 터틀 혜성이 우주 공간에 남긴 운석 잔해가 지구로 떨어지는 천문 현상으로, 지구가 이 잔해 무리를 지나는 매년 8월에 생긴다. 특히 올해는 목성 중력의 영향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과학동아 6월호 커버스토리에서 기자는 절단장애인을 위한 첨단의수족 기술을 주로 다뤘다. 불의의 사고로 다리를 잃은 무용수를 1년 만에 다시 무대로 복귀 시킨 미국 MIT 미디어랩 휴 허 교수의 전자의족 기술과, 생각대로 움직이는 전자의수를 만들려는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5개년 프로젝트 등을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