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기후"(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식물원에 다녀와서기사 l20181112
- 무료라고 했습니다. 제가 제일 먼저 들어간 곳은 상설전시관입니다. 이곳은 온실에 들어가기 전에 온실에 있는 식물의 이름과 기후를 알아보는 곳이라고 하는데요, 저는 식물에 대해선 관심이 없어 별로 흥미가 없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간 곳은 온실입니다. 온실에 들어가자 마자 바로 뜨끈뜨끈하고 습한 온도가 저를 반겼습니다. 처음에는 "뭐 그냥 식물 몇 ...
- 2018 UN청소년환경총회 참가기기사 l20181112
- 저를 포함하여 국내외 초/중/고 학생 300명이 참가했어요. 올해 UN청소년환경총회의 주제는 이었는데 '생활과 물', '기후변화', '미세먼지', 방사능', '지속가능한 식생활', '생활화학물질' 등 6개 위원회로 나뉘어서 결의안 채택을 위하여 토론을 펼쳤습니다. 제가 속했던 위원회는 '생활과 물'위원회였는데, 구체적으로 "우리 ...
- UN청소년환경총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81111
- 개최되었습니다. 초등4학년 부터 고3까지 유엔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위원회는 (생활과 물 위원회 ,기후변화 위원회, 미세먼지 위원회,방사능 위원회) 4위원회이고, 영어 위원회는 (지속가능한 식생활 위원회, 화학물질 위원회)2위원회로 총 6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위원회는 1위원회당 40명씩 구성되어 총 240명입니다 ...
- UN청소년환경총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81110
- 참여한 학생들은 모두 각자 한 국가를 대표하였는데, 저는 크로아티아를 대표하였습니다. 크로아티아는 대륙성 기후와 지중해성 기후가 공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산물, 육류, 다양한 과일 등 지역특산 제철 재료를 사용하여 신선하고 다양한 요리가 가능합니다. ▲제가 크로아티아를 대표해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총회에서는 결의안이라는 것을 ...
- UN청소년환경총회 참여 후기(물 풍족 국가 헝가리의 가뭄에 대해 고민하다..)기사 l20181110
-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헝가리는 1999년 유엔 사막화 방지협약을 체결해 유럽의 사막화를 막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또, 헝가리는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에 따라 사막화와 가뭄을 막기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헝가리에서는 2006년부터 물을 아낄 수 있는 방법으로 농사를 짓고, 관개 시스템을 개선하는 식으로 가뭄을 예방하려 했습니다. 한 ...
- 매미가 들려주는 기후변화 이야기탐사기록 l20180919
- 매미와 기후변화를 주제로 국립생태원동아리 매벤져스팀(라이노비틀즈, 파워에너지팀과 함께)으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매미가 들려주는 기후변화 이야기를 동영상으로 2개를 만들어 SNS 홍보 중입니다. 매미와 우리가 함께 살아가고있는 도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동영 ...
- 아낌없이 주는 꿀벌에게 관심을기사 l20180815
- 등이 있습니다. 요즘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람들이 뿌리는 살충제, 농약과 연관이 있고, 장수말벌과 같은 천적, 질병, 기후변화 등이 있습니다. 과학자 아인슈타인이 “꿀벌이 사라지면 4년 만에 인류도 사라진다.”고 말했듯이 꿀벌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꿀벌이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선생님말씀대로 꽃 심기, 유기농 ...
- 쥬라기 월드 폴른킹덤 시사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80713
- 이유는 칙술루브 소행성 충돌때문입니다. 여러 가지 원인이 동시에 있을수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소행성 충돌로 인하여 지구의 기후가 너무 많이 변해서 수많은 생물이 죽었을 것이며 이때 거의 대부분의 공룡도 멸종하였습니다. 공룡을 구 ...
- 나비 탐사에 다녀와서기사 l20180708
- 것을 배웠다.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현재 지구의 기후변화와 도시화 때문에, 열대지방에 사는 나비가 우리나라로 올라오고, 원래 우리나라에서 살던 나비가 위로 올라가고 있다. 또, 멸종위기종도 늘어나고 있다. 계속 이렇게 되면 결국 우리나라엔 나비가 없어질 수 있다 ... ...
-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을 다녀왔습니다!기사 l20180513
- 꺼내고 넣을 수 있지만 씨드 볼트는 종자를 보존하기 위해서 멸종되기 전에는 꺼내지 않는다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 기후 변화 문제로 미래에 식량이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우리나라가 위험에 닥쳤을 때 씨드 볼트가 큰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 같아서 마음이 든든했습니다. 시드볼트는 국가 중요 기관이여서 일반인의 출입이 어려운데 어린이 과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