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신호"(으)로 총 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를 닮은 로봇 vs 로봇을 닮은 나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있는 마지막 희망을 사이보그 기술에서 찾는다. 원리는 이렇다. 전신마비 환자가 머릿속으로 오른손을 드는 상상을 한다. 그러면 뇌의 신호를 잡아 낸 컴퓨터가 곧바로 반응하여 컴퓨터 화면의 커서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원하는 글자 앞에서 커서를 멈추는 것도 가능하다. {BIMG_l11} 1998년 영국 레링대학교의 캐빈워릭 교수는 팔에 신경칩을 삽 ...
- 동이마을 비내리제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잠깐 어두워졌다. “그저 단순하게 기술상의 결함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 여기 비내리제 유적지의 강우장치는 사람의 목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꾼 후 구름에 미터당 백만볼트의 전기장을 형성해서 얼음결정을 만들어내는 기계다. 구름 속에서 자라난 얼음결정이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비가 되도록 프로그램한 거지. 백년이 지났다지만 굉장한 과학기술이다. 다만, 강우 ...
- 3짱 프로젝트-살은 왜 찌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2
- 합니다. 뇌와 호르몬, 마음의 이상 뇌에 문제가 생겨 아무리 먹어도 뇌에서 배부르다고 느끼지 못하거나 자꾸 자꾸 먹고 싶다는 신호를 보내면 살이 찔 수 있어요. 호르몬 이상으로 자꾸 먹고 싶거나 몸에서 사용하는 에너지가 매우 적을 수도 있지요. 또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불만이 있을 때 음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비만이 된답니다. 몸무게 ...
- 2 놀라운 세상 - 신비한 숫자 2의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몰라요. 하지만 이진법이 없다면 컴퓨터도 TV도 사용할 수 없을 거예요. 전기로 작동하는 기계들은‘켜다’와‘끄다’이 두 가지 신호로 움직여요. 전기를 켜다는 1, 끄다는 0으로 표현할 수 있죠 이러한 이진법을 통해 컴퓨터나 TV와 같은 전자제품이 발달할수 있었답니다 무한 증식, 이분법 손을 자주 씻자! 항상 듣는 이야기지만 귀찮아서, 혹은 깜빡 ...
- '안보여도'의 육상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반을와스’는 다리에 인공근육을 달았고, 일본의‘다리이로 나라데스’는 신발에 용수철을 달았다. 드디어 출발 신호가 울렸고 선수들은 최선을 다해 뛰었다. ① 안뛰어도 반을와스는 10m를 0.51초에 뛰었고,② 다리이로 나라데스는 시속 72㎞로 달렸다. ③ 바리아니 보이오는 한 걸음에 2m를 뛰는데 0.09초가 걸렸다. 막상막하의 대결, 과연 누가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2)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4
- 있는 부신에서 분비된다. 사람의 몸이 극도의 긴장이나 흥분을 느끼면 대뇌피질(두뇌에서 생각을 담당하는 부위)에서 시상하부로 신호를 보낸다. 시상하부는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몸에 변화를 일으키는데, 아드레날린의 분비도 그 가운데 하나다. 몸 속 아드레날린 수치가 높아지면 혈액이 빠른 속도로 흐르고 심장박동이 급해진다. 호흡이 거칠어지지만 몸의 감각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3)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4
- 월드컵 증후군 이겨내기 황상민 교수: 열광적인 응원이 끝나면 우리 몸에는 변화가 생기지. 흥분했을 때 뇌가 온몸에 분비하던 위험신호들이 서서히 사라지거든. 그러나 흥분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몸에 문제가 생기고 말아. 몸이 긴장했을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은 소화를 방해하고 면역을 약화시켜. 심장병의 위험도 커지고 쉽게 피곤해지지. 게다가 우울증에 ...
- 두근두근 거짓말의 유혹어린이과학동아 l20060511
- 그런데 요즘 고래가 부르는 노래가 사람에 의해 위협받고 있어요. 바다를 항해하는 배나 음파탐지기 등이 내는 소음이 고래의 저주파 신호와 뒤섞여 버리거든요. 결국 고래는 구애에 실패하고 짝짓기성공 확률도 낮아집니다. 원시시대부터 사람은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사랑을 고백했어요. 뿐만 아니라 매력적인화장과 향수, 예쁜 색의 옷으로 이성의 관심을 ...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060511
- 사는 곤충들에게 페로몬은 자신이 누구인지 증명하는 신분증과 마찬가지예요.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벌이나 개미가 보내는 화학적 신호는 약 600가지에 이른답니다.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포유류가 분비하는 오줌이나 똥 같은 배설물도 일종의 페로몬이에요 ... ...
- 대보름의 불 축제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228
- 불이 사그라들 쯤 저 멀리 산등성이에서 부터 불이 붙기 시작했어요. 산성 주변에 5미터 간격으로 배치된 240여 명의 불잡이들이 신호에 맞추어 일제히 불을 놓자, 5만 6000평에 달하는 화왕산 정상의 억새들이 순식간에 불춤을 추기 시작했어요. 휘영청 밝은 달 아래에서 사물놀이와 불꽃쇼 등이 펼쳐지면서 축제 분위기가 되었답니다. ▶한쪽에서는 과 ...
이전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