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
길거리
거리
도로
나비
너비
폭
뉴스
"
가로
"(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이달 9월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점자 점 간
가로
간격과 세로 간격이 같아야 하지만
가로
간격이 더 좁은 모습이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시각장애인에게 유용한 점자 표준을 만들기 위해서는 선행 연구가 필수다.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는 점자 표준을 만들기 위해 외국은 다양한 연구를 ... ...
시야 꽉 채우는 초고화질 영상, 시차 없이 지구 반대편까지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있다. 연구팀은 UWV 기술을 이용해 이 같은 시야각을 실현했다. 또 이를 응용해 화면을
가로
로 늘려 360도까지 볼 수 있는 VR 콘텐츠를 만드는 데에도 적용했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여러 대의 초고화질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끊기는 느낌 없이 자연스럽게 이어 붙이는 ‘실시간 모니터링 및 생성 ... ...
깡통 하나 못 띄우던 한국 '위성 개발 강국'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23명 있다. 이들의 사연은 각양각색이다. 외국의 대형 위성기업으로 진출해 위성 전문
가로
서의 경력을 이은 사람도 있고, 우주기업을 창업한 사람도 다수다. 연구소 재직 시절 자세제어팀에서 근무했던 이성호 드림스페이스월드 대표는 “위성 제어 기술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에 ... ...
삼성전자,
가로
로 반 접히는 새로운 형태 폴더블스마트폰 공개(종합)
연합뉴스
l
2019.10.30
월드 콩그레스(MWC) 등에서 공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가로
로 반 접히는 새로운 폼팩터의 폴더블 스마트폰 디자인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뉴스룸 동영상 캡처=연합뉴스] ... ...
'독도의 날'맞아 아리랑위성3호와 3A호가 하늘에서 본 독도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지구상공 685㎞를 하루에 14바퀴씩 돌며 지상을 관찰한다. 서울과 제주도보다 먼 거리에서
가로
세로 각각 65~70㎝ 물체를 한 점으로 인식하는 고성능 카메라가 달려있다 ... ...
아무렇게나 '휙' 던져놔도 충전 가능한 무선 충전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이용해 전력을 주고받는 자기장 신호를 전달해 충전한다. 그런데 공기는자기장을
가로
막는 성질(자기저항)이 커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전자기기와 무선충전기가 조금만 멀어져도 충전이 어렵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기존 무선 충전 기술은 반드시 ... ...
[과학게시판] 학생발명품경진대회 시상식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국무총리상을 차지했다. 스마트폰 화면 회전 다이얼은 스마트폰의
가로
세로 화면 전환의 불편함을 해결했다.세종=윤신영 기자 ashilla@donga.com ■국립중앙과학관은 17일 오전11시 대전 유성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제41회 전국학생발명품경진대회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1979년부터 ... ...
마음 따뜻해지는 소방관 사진
팝뉴스
l
2019.10.14
따뜻하게 만드는 소방관 사진이 해외 인터넷에서 화제다. 전동 휠체어를 탄 사람이
가로
막혔다. 앞에는 두꺼운 소방용 호스가 놓여 있었는데 휠체어로 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에 소방관들이 급히 와서 호스를 높이 들어 줬다. 간단한 일은 아니어서 네 명이나 힘을 모아야 했다. 사진은 ... ...
"여배우 등장 시간 남성의 절반 수준" 시각 AI로 영화 분석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캐릭터의 시간적 점유도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파란색이 남성, 붉은색이 여성이다.
가로
축은 영화의 시간 축을 나타내며, 가장 왼쪽부터 영화가 시작된다. 세로축은 각 성별의 캐릭터들이 인식된 빈도를 의미한다. 왼쪽 두 개의 그래프는 벡델 테스트를 통과 못하거나 한 경우의 차이다. 통과한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보였다. 물체의 정체는 쥐의 뇌다. 원래 어른 손톱만 한 뇌를, 특별한 기술을 가미해
가로
세로 높이를 8배씩 팽창시켰다. 부피가 512배나 늘어난 셈이다. 색이 있는 풍선을 한껏 불면 색이 엷어져 속이 비치듯, 한껏 팽창한 뇌도 속이 맑아졌다. 그 결과 투명하고 거대한 뇌가 태어났다. 김성연 서울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