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뉴스
"
구분
"(으)로 총 2,37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세상을 바꾸는 '인공지능' 뒤에 '함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23.08.26
quantitas correlata)’, 그에 따라 바뀌는 변수를 ‘종속 변수(quantitas relata)’라는 라틴어로
구분
해서 표현했어요." Q(수학자). 하지만 아직도 함수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았어요. 언제 처음 함수라는 단어가 정의됐나요. A(인문학자). "좋은 질문이에요. 보통 아이디어는 단어를 정의하기 전부터 ... ...
내년 ‘인류세’ 선언 예정... “1950년부터 인류가 자연 압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8
인류의 영향을 받는 '인류세' 시대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다. 지구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
한 것을 ‘지질시대’라고 한다. 지질 연대별로 누대, 대, 기, 세, 절 등의 단위로 나누는데 현재는 ‘신생대-제4기-홀로세-메갈라야절’에 해당한다. 그런데 최근 홀로세 다음 인류세를 맞이해야 할 때라는 ... ...
"토성에도 대기에 수백 년 동안 흔적 남기는 거대폭풍 분다"
연합뉴스
l
2023.08.14
다른 색 띠 형태의 대기가 부드럽게 이어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VLA 전파 사진에는 띠
구분
이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 VLA 데이터를 분석 결과 거대폭풍이 암모니아를 상층 대기에서 하층으로 운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Dagnello(NRAO/AUI/NSF), I.de Pater et al(UC Berkele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이 ... ...
"혈당 정상 기준 넘어서면 심혈관질환 위험↑
연합뉴스
l
2023.08.14
기준 아래 ▲65.5~5.9%이면 정상 범위 ▲6~6.4%이면 전당뇨 ▲6.5%를 넘으면 당뇨병으로
구분
하고 이 4가지 혈당 범위가 심혈관 질환 위험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혈당이 정상 기준 아래에 있으면 혈당 수치가 낮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도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혈당이 ... ...
AI로 돌고래 위치 파악…멸종 위기 '분홍돌고래' 보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31
내는 초음파와 휘파람을 분석했다. 또 보토와 꼬마돌고래가 내는 휘파람 소리를
구분
해 두 종의 위치를 각각 모니터링했다. 연구팀은 AI를 기반으로한 돌고래의 위치 모니터링 결과를 지역 주민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돌고래가 어민들의 다른 어획 활동을 방해하거나 그물망에 의도치 않게 ... ...
차세대 방사성의약품 품질 높일 핵자료 측정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31
감마선 스펙트럼이 불순물인 Ga-67과 정확히 겹쳐 물리적인 측정법으로는 이 두 핵종을
구분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두 핵종을 화학적으로 직접 분리 정제하는 중간 과정이 필요했다. 하지만 분리 과정에서 Cu-67의 손실이 계속 발생해 비효율적이고 부정확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중간 과정인 화학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학살하는 일도 거리낌 없이 자행하곤 한다. 다수의 의사와 상관 없이 옳고 그름을
구분
하고 옳은 일을 관철할 수 있는 도덕적 용기가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특히 조직의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에 있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도덕적 용기를 발휘하여 조직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책임이 ... ...
[주말N수학] 천재는 신화일 뿐…'러셀의 역설'과 좌절
2023.07.29
수학동아 제공 이같이 러셀의 유형 이론은 원소와 집합의 위계 관계를 엄격히
구분
하기 때문에 칸토어의 집합론에서 생기는 역설적인 집합이 없습니다. 이제 러셀과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에게 남은 일은 칸토어의 집합론 없이 유형 이론만 가지고서도 수학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음을 ... ...
측우기, 세종대왕이 만든 게 아니었다?…과학업적 재조명
2023.07.29
세종 24년(1442)에는 중국과 이슬람의 역법을 참고해 한반도 기준으로 시간과 날짜를
구분
할 수 있는 조선의 역법을 완성했다. 세종대왕은 왜 이토록 다양한 과학 연구를 진행했을까. 측우기는 세종이 만든게 아니다. 과학동아 제공 ● 의혹1. 측우기는 세종대왕이 만든 게 아니다? 그렇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AI로 밤에도 낮처럼 물체 인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9
각종 물체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 신호가 각각 어느 물체에서 나오는 것인지
구분
할 수 있도록 것이다. 연구팀은 "도시와 시골, 주간과 야간이라는 다양한 환경에서 시행한 실험에서 HADAR이 기존 조명 기반의 컬러 스테레오비전과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며 "향후 자율주행 차량과 같은 4차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