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근원
밑바탕
뿌리
기본
원천
근거
뉴스
"
근본
"(으)로 총 1,236건 검색되었습니다.
'또다른 카카오사태' 언제 터질지 모르는데 모호한 기술대책 내놓은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9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체적인 실행전략이나 로드맵을 제시해 이번 사태를 계기로
근본
적인 기술 대응책을 내놨다기보다는 언급할 수 있는 기술을 단순히 나열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우선 전고체 배터리는 실현 가능성이 확실하지 않은 미래 기술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간 ... ...
UNEP "1.5도 온도 상승 피할 길 없어"…이대로면 2.8도 상승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통해 우리에게 말해온 것들을 과학적 용어로 풀어낸 보고서"라며 "경제·사회적에 대한
근본
적인 변화만이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재앙으로부터 우리를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7일(현지시간) '배출 갭 보고서 2022'를 발표했다. UNEP 제공 ... ...
"10년간 34만명 해외로 떠났다…이공계 인재 유출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10년간 해외로 떠난 이공계 학생이 34만명으로 이공계 인재 유출이 심각하다고 24일 밝혔다. 김영주 의원실 제공 최근 10년 ... 보인다"며 "과기정통부는 하루 속히 실태 조사에 착수해 향후 이공계 인재 유출에 대한
근본
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코로나19 이후 팬데믹, 의사과학자가 대응 차이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아직까지도 당뇨병을 어떻게 예방할지, 극복할지 모르고 있다”며 “어떤 질환이든
근본
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의사과학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에서는 45개 의대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포스텍과 KAIST 등 연구중심 과학기술특성화 대학들이 관련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책 시급…방사능 검출돼도 대응 매뉴얼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원전 안전에 문제가 없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기후변화로 기온이 계속 올라갈텐데
근본
적 조치 없이 기준만 계속 바꾸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지난 7월 원안위는 기후변화로 해수온도가 높아졌다는 이유로 정지기준 해수온도를 기존 31.6도에서 34.9도로 3.3도 높이겠다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요청을 ... ...
초저출산 시대 위기의 소아청소년과..."아이 건강권 보장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개념인 ‘아동기본법’ 신설을 통해 법률을 아우르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며 “
근본
적인 취지는 소아청소년 건강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 책임을 확실히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실험실 유출 vs 야생동물...코로나19 기원 놓고 논쟁 재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통제했지만 바이러스 전염이 멈추지 않았다. 사육되는 가축이 아닌 야생동물이 감염병의
근본
원인이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코로나19의 발원지를 둘러싼 학계의 논쟁은 감염병 유행 초기부터 지금까지도 진행중이다. 야생동물 기원설과 반대되는 연구실 유출설은 중국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아인슈타인도 설명 못한 양자현상, 실험으로 증명하다
2022.10.05
양자정보과학의 부흥이다. 양자 얽힘을 이용하여 벨의 부등식을 깨뜨리는 양자역학의
근본
적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이를 제어하고 이용하는 기술들이 특히 지난 세기 말부터 많은 과학자들의 실험실에서 발전해왔다. 그중 대표적 인물인 안톤 차일링거는 얽힌 광자쌍을 이용해 여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또는 ‘합성세포’ 또는 ‘원세포(protocell)’라고 부른다. 참고로 생명체의 가장
근본
적인 요건은 물질대사를 통해 정체성을 유지하고 무성생식(세포 분열) 또는 유성생식을 통해 증식할 수 있어야 한다. 지난 2010년 과학자들은 인공생명체를 만들어 주목을 받았지만 무생물에서 생물을 창조한 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쉬운’ 과학용어보다 ‘익숙한’ 과학용어가 더 중요하다
2022.09.28
과학용어가 영어 용어와 다르게 발음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우리의 어문 규정도
근본
적인 손질이 필요하다. 특히 첫음에 된소리와 ‘ㄹ’을 금지하는 규정은 서둘러 개정해야 한다. 우리말을 순화시키기 위해서라는 명분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우리의 주식인 ‘쌀’과 갓난아이의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