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세포 ‘다리’ 없애 전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적지만, 여러 곳으로 퍼지기 시작하면 치명적인 암이 된다”며 “세포 자체를 태워
사멸
시켜 버리면 염증이 발생할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다리만 선택적으로 제거해 전이를 막는 방법을 택했다”고 말했다 ... ...
아무리 잘 관리해도 암에 걸릴 사람은 걸린다?
과학동아
l
2017.06.23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이미 발생한 암세포에 어떤 약을 투약해야 암세포가 효과적으로
사멸
될 것인가가 더 중요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암세포가 한 종류의 돌연변이를 가진 하나의 클론(세포군)이 증식해 덩어리를 이뤘다고 생각했다. 암을 일으키는 주요 클론을 하나씩 제압하면 암을 정복할 수 ... ...
동물실험없이 항암제 독성 시험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대체하리란 기대를 받고 있다. 영국의 생물학자 시드니 브레너는 이 곤충을 활용한 세포
사멸
에 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에게 임상항암제 ‘에토포사이드’를 먹인 뒤 행동과 성장 형태의 변화를 관찰했다. 항암제를 먹인 예쁜꼬마선충 집단은 ... ...
감잎차 눈 건강에 좋다는 말 “사실이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2
감잎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감잎 추출물은 시신경세포의
사멸
을 억제하고, 세포의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동물실험 결과 시신경의 손상 면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증명했다. 감잎은 각종 비타민 함유량이 레몬의 20배에 달하며, ... ...
건강하려 먹는 ‘아미노산’…암 환자에게는 ‘독’
동아사이언스
l
2017.05.06
못한다. 따라서 아미노산 섭취가 줄면 건강한 세포는 그대로 건강하고, 암 세포만
사멸
하게 되는 식이다. 반면, 연구진은 ‘크라스(KRas)’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췌장암 등의 암에는 이 식이요법이 도움 되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했다. 돌연변이 자체가 세린과 글리신을 생성하는 ... ...
암세포만 골라 없애고 분해돼 사라지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04.24
암세포에 남는다. 여기에 빛을 쬐이면 암세포에만 활성산소가 생성돼 선택적인 암세포
사멸
이 가능하다.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셈이다. 또 복합체가 체내에서 생분해되기 때문에 독성도 적다. 실제로 연구진이 암에 걸린 생쥐에게 이 복합체를 투여하자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 ...
배아 성장, 뇌 발달 비밀 풀 ‘마이크로RNA’ 생성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특훈교수) 연구팀은 세포의 분화와
사멸
, 암 발생 등에 관여하는 수백 개의 ‘마이크로RNA(miRNA)’ 생성 과정을 인체 세포 안에서 한번에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김 단장이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논문에는 IBS RNA연구단의 정교원 ... ...
적당히 스트레스 받아야 파킨슨병 예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티졸이 파킨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해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
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 보호 유전자인 파킨 단백질 발현을 유도해 도파민 신경세포의 활성을 촉진하는 약물 후보를 발굴한 것이다. 동물 실험을 통해 코르티졸이 퇴행성 파킨슨병의 치료제로 ... ...
장티푸스 일으키는 세균으로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9
기대한다. 민 교수는 “ppGpp 결핍균주를 이용하면 암 조직에만 염증 작용이 일어나 결국
사멸
하게 된다”면서 “이번 성과가 의료 현장에서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이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탈진한 면역 세포가 제 구실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4
T세포가 항원의 공격을 받았을 때 기억T세포를 만든다. 기억T세포는 T세포가
사멸
한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생존하면서 다시 같은 항원이 나타나면, 일반 T세포에 비해 단시간에서 증식을 시작해 강력한 면역반응을 끌어낸다. 헤이닝 교수는 “만성질환이나 암으로 오랜 기간 항원과 싸우다 탈진한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