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산
혼란
이산
유포
산
해산
파산
뉴스
"
산란
"(으)로 총 38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음달 4일 ‘붉은 달’이 뜬다
2015.03.19
사라지지 않고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관측할 수 있다.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
되지 않고 남은 붉은색 계열의 태양빛이 달에 반사돼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개기월식이 끝나면 오후 10시 45분까지 다시 부분월식이 진행되고, 다음날 오전 0시 1분 월식의 전 과정이 끝난다. 가장 최근의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잃어버린다. 하지만 이 중 생체 조직에서 영상정보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빛(단일
산란
파)이 일부 존재하는데 연구팀이 이를 찾는 방법을 개발해 현미경에 적용한 것이다. 그 결과 기존 광학현미경으로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없었던 깊이 1mm 이상의 조직 속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최 교수는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지름이 수 마이크로미터 내외로 가시광선의 파장인 0.4~0.7μm보다 크기 때문에 빛이
산란
돼 불투명해져 하얗게 보이는 것이다. 매일 아침 얼굴에 바르는 로션이나 크림도 유화 상태다. 현미경으로 보면 젖과 비슷한 모습이라는 말이다. 단지 기름의 비율이 더 높아 기름방울이 더 크고 이를 ... ...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있었기 때문에 지적이 가능했을 것”이라며 “다양한 장비로 연구를 계속하면 우주먼지
산란
같은 혼돈요인을 제거해 순수하게 중력파의 증거만 찾는 것도 가능해 질것”이라고 말했다.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10억분의 1m) 지름에 수백 nm 길이의 투명한 단백질이 층층이 쌓여 있는데 여기에서 빛의
산란
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총천연색으로 분리된 뒤 청색만 외부로 반사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화려한 청색으로 보이게 된다. 호주 연구팀이 주도하고 8개국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양이 400만 년 전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붙였다. 레드양자점은 빛을 흡수할 뿐 아니라 태양전지가 빛을 잘 받아들이도록 빛을
산란
시키는 역할도 해 자외선(UV)을 이용하는 기존 유기태양전지 보다 20% 이상 효율이 높았다. 레드양자점은 유기태양전지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도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 ...
10월 8일 저녁엔 붉은 색 달이 뜬다
2014.09.30
가려져도 모습이 사라지지 않고 붉은 빛을 띤다. 그 이유는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
되지 않고 남은 붉은색 계열의 태양빛이 달에 반사돼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3년 만에 나타나는 개기월식에 맞춰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관측 행사 역시 열린다.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과학동아천문대는 ... ...
햇빛만 있으면 수소가 펑펑
2014.09.23
부분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면 육각기둥 모양일 때(a) 보다 나선형 구조(d)일 때 빛을 더 잘
산란
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이번에 연구팀이 제작한 광촉매는 기존 티타늄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광촉매보다 수소 생산량이 무려 10배 이상 높았다. 또 물을 분해할 수 있는 효율도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200~300nm보다 작아지면 정확한 영상을 보기 어렵다. 연구팀은 빛이 넓게 퍼져나가는
산란
현상 때문에 이런 문제점이 생긴다는 점에 주목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할 시료를 투명한 유리판으로 덮은 다음, 지름 100nm 크기의 나노입자로 구성된 미세한 입자를 뿌렸다. 이렇게 만든 시료를 기존 현미경으로 ... ...
여기는 몽골 고비사막, 공룡이 꿈틀댄다
과학동아
l
2014.08.29
아마추어의 참여 전통이 긴 일본에서는 2011년 학계를 놀라게 한 세계 최대의 공룡알 집단
산란
지 화석을 일반인이 처음 발견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고생물학 분야에서 아마추어 화석사냥꾼의 활약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 관장은 “화석 탐사에는 손과 눈이 많이 필요하다”며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