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뉴스
"
쓰기
"(으)로 총 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고기, AI비서…빌 게이츠 선정 올해 10대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빌 게이츠는 사회의 궁극적 목표로 ‘자아실현’을 꼽으며 이를 이뤄줄 기술로 말하기나
쓰기
등이 자연스러워지고 있는 AI 비서를 꼽았다. 그는 “이메일을 읽는 30분을 아껴 친구와 커피를 마시거나, 자식의 숙제를 도와주거나, 공동체를 위해 봉사하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라며 “이것이 미래의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④첫 번째, 코딩 준비 운동하기
2019.02.25
있다. 알아서 찾을 수 있다면 명령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글자
쓰기
라는 간단한 행위조차 사람의 노력, 즉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좀 더 비틀어 보기로 했다. 명령의 대상을 아빠 대신 로봇으로 바꾸라 했다. 로봇은 명령대로만 움직인다고 말했다. 멍청해서 스스로 할 수 ... ...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핵심소재 ‘이온전달막’ 상용화 눈앞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뒤 ‘술폰산기’라는 황산 계열 작용기를 넣은 물질이다. 홍 연구위원은 "연료전지에
쓰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노력해 왔지만, 내구성과 성능 문제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마크 로스코의 그림을 돌려 놓은 것 같지만... 실은 화학연이 새로 개발한 바나듐 레독스흐름 배터리용 ... ...
“의료 영상도 꿰어야 보배”...AI 판독 만족도 쑥쑥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만족도가 높다는 평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결과가 바로 나와 응급의학에서
쓰기
좋다는 평이다. 그 외에 JLK인스펙션의 뇌경색 진단 AI ‘JBS-01K’와 인포메디텍의 MRI 영상 기반 치매진단 보조 시스템 ‘뉴로아이’가 식약처 의료기기 승인을 받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7년 1월 세계 ... ...
차세대 메모리 CB램 성능 100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CB램의 경우 다른 차세대 메모리인 플래시램에 비해 100배 적은 전력으로 읽기와
쓰기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선 결정화 온도를 높여야 한다. 연구팀은 CB램의 구조 내에서 절연체를 활용해 저항성을 높일 방법을 찾았다. CB램은 금속-절연체-금속 구조인데 지금까지 GST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
2019.01.27
것은 인간의 탓이 큽니다. 인구가 늘고 빈곤이 지속되면서 벌목이 성행합니다. 땔감으로
쓰기
위해서 나무를 베어내고 있는데, 점점 숲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화전을 하기 위해서 불을 지르기도 합니다. 여우원숭이가 살 곳이 아예 사라지는 것이죠. 심지어 여우원숭이를 사냥하기도 합니다. ... ...
근육세포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잘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같이 배양했을 때 서로 결합하는 정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식에
쓰기
위한 완벽한 근육조직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을뿐 아니라 근육로봇을 개발할 때도 생체 신호가 아닌 전기 자극을 가했을 때만 움직이는 문제가 나타난다. 연구팀은 골격근이 자라는 환경에서 홈이 있는 형태의 세포 ... ...
올해 기후·환경 분야 연구에 1082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위한 기술 개발에 906억원을, 친환경적 수소생산 및 저장기술 개발을 위해 102억원을
쓰기
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의 2019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여 선도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전하 문제로 세포 안으로 제한적으로 전달된다. 기존의 방법은 대부분 화학적 소재를
쓰기
때문에 독성이 높고 화학 합성을 하다보니 균일하지 않아 실어나를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진은 생체 분자인 DNA를 기반으로 나노 구조체를 제작했다. DNA와 DNA의 ... ...
이산화탄소 석유화학 원료로 바꿔주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중 이산화탄소는 대표적인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최종 산물의 전 단계인 메탄올이나 디메틸에테르 등의 중간체로 전환한 후 다양한 석유화학 원료로 합성하는 촉매기술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촉매로 쓰이는 금속 나노입자가 쉽게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